[스포츠화제]택견 따라잡기

  • 입력 2000년 7월 10일 20시 05분


"이크! 에크 에~~"… 전통무예 '택견'

이번 시드니올림픽에 태권도가 정식종목으로 채택되면서 더불어 우리의 전통무예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중 '택견'은 직선적이고 딱딱한 태권도 동작에 비해 섬세하면서도 부드러운 곡선의 몸놀림을 가진 전통무예이다. 굼실굼실 대는 모습이 마치 전통탈춤을 보는 듯 하지만 순간적으로 나오는 손과 발놀림은 강인한 무술에 이미지를 보여 준다.

택견은 크게 '품밟기'라는 발움직임(스텝)과 '활개짓'이라는 손놀림, '발질'의 발기술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품밝기는 우리의 전형적인 가락중에서도 굼실굼실대는 균형이 깨진 듯한 3박자로 되어있다. 그 모습이 마치 옛 양반들의 걸음걸이와 매우 흡사하다. 그리고 발놀림의 하나인 '저기차기'는 제기차기의 모습과 유사하다. 택견은 대부분의 용어가 순수 우리말이고 한복을 입고 수련하기 때문에 우리의 전통적인 맛을 느낄 수 있다.

서구문화에 익숙한 우리로서는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수련을 하면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오히려 편함을 느끼게 된다.

택견은 태권도처럼 실전에서 공격과 방어가 구분되는 일정한 형(型)이 없지만 품밝기와 활개짓을 하며 상황에 따라 보여지는 '본대'라는 것이 있다. 자신의 실력을 과시하기 위해 시범보이기와 같은 '본대뵈기'는 모두 열두마당을 돌며 본대를 보인다. 다른 무술에서는 위계표시로 '급'이나 '단'이란 용어를 쓰지만 택견은 우리말인 '째'나 '동'을 사용하여 급을 나타낸다.

상대와 실제로 겨루는 '맞서기(겨루기)'는 먼저 한사람이 "서거라"하면 상대는 "섯다(준비됐다)"라는 소리와 함께 활개짓을 자유로이 하면서 겨루기가 시작된다. 상대를 넘어뜨리거나 발길질로 상대의 급소 및 얼굴을 따구떠리하여 상대로 하여금 중심을 잃게 하면 이기는 것이다.

택견은 고구려의 선배(선비)정신과 신라의 화랑정신이 배여있는 무예이다. 이런 전통 무예를 통해 잠시나마 잊었던 우리의 것을 느껴보고 사라져가는 민족에 얼을 되찾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김종기 < 동아닷컴 인터넷기자 > koyak76@m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