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소평 사망/중국은 어디로]권력구조,불안한「3인체제」

  • 입력 1997년 2월 20일 20시 01분


「중국의 마지막 황제」 鄧小平(등소평·93)이 19일 영면에 들어감으로써 12억 중국인민을 이끌 권부(權府)의 향방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돼 있다. 등소평 이후의 권력구조와 그 향방은 그가 살아 있을 때부터 관심의 대상이었다. 胡耀邦(호요방) 趙紫陽(조자양) 등이 한때 그의 그늘 아래서 단일 지도자감으로 빛을 발했으나 우여곡절 끝에 져버린 별들이 됐다. 등은 훗날에 대비한 듯 江澤民(강택민) 李鵬(이붕) 喬石(교석) 등 3인의 차세대 지도자들을 교묘하게 솥발처럼 자리잡게 했다. 이른 바 3인주도하의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한 뒤 강택민주석을 후계지도자로 끌어올리는 과정의 막바지에 있었던 셈이다. 그러나 강택민 총서기(70)는 등소평 만한 카리스마와 국가장악력을 갖추지 못한 것은 물론 최고정책 결정자로서의 이미지구축도 덜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서방전문가들은 등소평 사후 과도적인 집단지도체제가 6개월∼1년간 지속될 것이라고 짚고 있다. 중국공산당 총서기 강택민. 현재로선 그가 외견상의 등소평 후계자다. 강총서기는 국가주석과 중앙군사위주석을 겸하면서 당정군(黨政軍) 등 중국정치의 3요소에서 모두 정점에 서 있다. 강총서기는 89년6월 천안문 유혈사태 이후 조자양이 실각하면서 당총서기를 맡아 중국의 차세대 지도자로 급부상했다. 지난 92년 국가주석을 맡은 뒤로는 자신의 배경인 이른 바 「상해방(上海幇)」을 중심으로 세력확보에 힘써왔다. 강총서기는 상해 교통대학 전기과 출신의 기술관료이며 85년에 상해시장, 87년에는 상해당서기를 겸임했다. 朱鎔基(주용기)국무원 경제담당 부총리, 吳邦國(오방국)부총리, 黃菊(황국)정치국원 등이 상해방으로 통한다. 정치국원 20명 가운데 상해인맥이 8명이나 된다. 그러나 그가 추후 단일지도체제의 선두에 설만큼 권력기반을 견고하게 구축했는지에 대해 고개를 젓는 사람들이 많다. 그동안 등소평의 사망설이 나돌 때마다 『강총서기는 등소평이 오는 10월 제15차 전국인민대표자대회 때까지는 살아 있기를 염원한다. 강총서기는 당주석직을 신설해 毛澤東(모택동)주석에 버금가는 실권과 카리스마를 쥐어야 후계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등소평은 15차 당대회는 물론 그렇게 바라던 홍콩반환(7월1일)조차 보지 못하고 갔다. 이때문에 강총서기를 과도적인 집단지도체제하의 「대리인」으로 깎아보는 평가가 많은 것이다. 향후 중국의 권력구조를 결정지을 중요한 요소 몇 가지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제문제다. 중국의 「경제기적」의 이면에는 벌써 △실업률 증가 △심화하는 빈부격차 △계속되는 물가불안 △범죄와 부패증가 등 체제안정을 위협하는 현상들이 두드러진다. 정치체제는 공산주의를 유지하면서 경제적으로는 시장경제를 추구해온 중국이 경제개혁의 성패 갈림길에서 권력이행기를 맞게 된 것이다. 중국 공산당 권력서열상 강총서기의 바로 뒤에 서 있는 이는 李鵬(이붕·68)총리다. 그는 지난 87년 총리직에 올랐으나 천안문사태의 책임이 그의 양어깨에만 지워진 듯한 느낌을 준다. 따라서 중국인민들에게 그는 인기가 별로 없다는 약점을 안고 있다. 지난 93년에는 연금설이 나돌만큼 정치적 입지가 취약한 것으로 전해져 집단지도체제하의 일원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등소평 사후 강총서기에게 가장 위협적인 존재로는 喬石(교석·72)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상무위원장을 지목할 만하다. 당서열 3위인 그는 중국 공산당 초창기부터 조직과 지하공작활동을 맡아왔다. 이에 따라 그는 권력 핵심부에 있는 인물들의 「약점」을 틀어쥐고 있다. 보수와 개혁파에 두루 발도 넓다. 이때문에 그는 단일지도자로 부상하지 않는다 해도 향후 중국 권력구조의 향방을 가를 결정적인 열쇠를 쥐고 있는 「킹 메이커」로 불린다. 이같은 「솥발구조」같은 지도체제 뒤편에는 인민해방군이 있다. 군부는 과거 새로운 정치권력의 편성 때마다 결정적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군부는 자체적인 권력투쟁으로 인해 존망이 위태로울 정도의 위협만 받지 않는다면 가능한 한 개입을 꺼릴 소지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등소평의 체온이 식은 지 불과 하루만에 중국 권부의 향방을 점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하고 모호한 일이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등소평의 시신 앞에 서서 추모하는 자세로 서 있을 중국 정치핵심들 사이에서는 벌써 권력투쟁의 불꽃이 점화됐다는 것이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