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애인콜택시 2025년까지 208대 더 늘린다

  • 뉴시스
  • 입력 2023년 7월 25일 11시 25분


코멘트

대기시간 30분내 유지…장애인차량 확충 주력
바우처택시 규모 확대…비휠체어 장애인 편의

서울시가 장애인콜택시를 2025년까지 208대 확충해 총 870대 운행을 목표로 세웠다.

서울시는 장애정도가 심해 보행이 어려운 장애인의 이동권 강화를 위해 이동수단 확충과 이용편의 개선계획을 마련해, 9월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장애인콜택시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이후 이용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해 현재 대기시간 약 41분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 하루 이용건수가 3230건에서, 올해 4050건으로 급증했으며 지속적으로 이용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시는 장애인콜택시 대기시간을 30분대로 유지하기 위해 증차와 함께 택시업계와 협업을 통해 추가 장애인이동 차량을 확충하기로 했다.

장애인콜택시를 올해 연말까지 30대를 추가로 늘려 692대로 늘리고, 2025년까지 총 870대로 확충한다.

또 장애인 콜택시를 추가적으로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택시업계와 협업을 통해 ‘법인 특장택시’ 30대를 10월부터 시범운행 한다.

평균 대기시간을 증가시키는 출퇴근시간대에 차량을 집중배차하고 부족한 운전원 충원을 위해 150명 규모의 단시간운전원도 집중 투입한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수요집중, 교통혼잡 등으로 대기시간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단시간(1일 5시간 근무) 운전원을 추가 투입해 운행대수를 늘려서 대기시간 단축을 유도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체 장애인콜택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응해 비휠체어 장애인은 부족한 장애인콜택시(특장차) 대신 임차택시, 바우처택시를 더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비휠체어 장애인의 대체교통수단인 임차택시를 현재 54대에서 9월에는 120대까지 확대해 운행한다.

바우처택시 운행 규모도 확대한다. 9월부터는 온다택시 6000대 참여 확보를 추진해 현재 운행 대수 1600대에서 총 7600대로 운행 규모를 대폭 늘린다.

특히 바우처택시의 요금을 장애인콜택시와 동일한 수준으로 낮춰 편의성과 이용률 제고를 도모한다. 바우처 택시의 수요 증진뿐만 아니라 장애인콜택시로의 이용 집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우처택시 배차요청에 운전자가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강화한다.

뿐만 아니라 여가, 관광 등 장애인의 단체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장애인 버스 도입 확대도 추진한다. 올해 휠체어 이용자 2명, 비휠체어 이용자 6명까지 탑승할 수 있는 소형버스 2대를 추가 도입한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장애인과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는 다양한 정책들이 유기적으로 작동돼야 그 실효성이 높아질 수 있다”며 “앞으로도 교통 이용환경 개선을 적극 추진해 약자와 동행하는 정책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