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껴쓰고, 나눠쓰고, 다시쓴다… 지자체-기업 가뭄 극복 총력전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3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남부 50년만의 최악 가뭄]〈中〉 물 대란 대비 나선 정부
절수 땐 요금 감면-폐수 재활용
부처 간 용수 관리 체계 일원화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3일 전남 화순군 용연정수장을 방문해 가뭄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3일 전남 화순군 용연정수장을 방문해 가뭄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남부지방을 덮친 반세기 만의 가뭄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물 대란을 막기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앞으로 빈번해질 가뭄과 홍수에 대비한 물 관리 체계를 정비하는 등 장기적인 대책 마련에도 나선다.

환경부는 전남 순천시 주암댐에서 물을 공급받고 있는 목포, 여수, 순천 등 전남 지역 12개 시군과 ‘자율절수 수요조정’ 협약을 1월 체결했다. 지자체별로 자발적으로 물 사용량을 줄이면 실적에 따라 수돗물을 공급하는 한국수자원공사가 절약한 용수의 0.25∼1.75배까지 수도요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광주시는 최대 13%까지 수도요금을 감면받았다.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지역 주민들에게 수도꼭지형 절수기, 절수 샤워기, 싱크대 절수기 등 절수용 기기 4140대도 보급했다. 이를 통해 12개 시군에서 1월 한 달간 일일 0.6만 t, 총 18만 t의 물을 절감했다.

기업들도 물 아끼기에 동참하고 있다. 환경부와 수자원공사, 산업통상자원부는 여수·광양국가산업단지와 협의해 기업들의 공장 정비 일정을 올해 하반기(7∼12월)에서 상반기(1∼6월)로 앞당겼다. 정비 기간 동안은 공장 가동이 중단되므로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 물을 한 번 쓰고 버리는 것이 아니라 폐수 재처리 시설을 통해 정화해 재사용하거나 바닷물의 염분을 제거하는 해수 담수화 시설을 활용해 일일 3만 t을 절수 중이다.

이번 가뭄으로 전국 단위로 물을 활용하는 일원화된 물 관리 체계도 가동되고 있다. 그동안 생활·공업용수냐, 발전용수냐, 농업용수냐에 따라 각각 관리하는 부처가 달랐는데 이를 서로 빌려주고 빌려쓰는 것이다. 수력 발전에 쓰이는 한국수력원자력의 전남 보성군 보성강댐의 발전용수를 수자원공사가 관리하는 주암댐으로 끌어오는 식이다. 지난해 7월부터 현재까지 보성강댐에서 2200만 t의 물을 끌어왔다.

발전 용수가 줄면서 생산되지 못한 전력은 물이 여유 있는 강원 춘천 소양강댐에서 생산해 보전하기로 했다. 수위가 떨어진 전북 임실군 섬진강댐의 경우,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해 상대적으로 물이 여유 있는 전북 부안군 부안댐과 연계 운영을 검토하고 있다.

산소가 풍부하고 오염되지 않은 하천수를 정수한 뒤 곧바로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환경부는 광주시민들의 주요 수원인 주암댐이 비상사태인 만큼, 전남 담양군 영산강 하천수를 광주시 생활용수로 활용하기 위한 비상관로를 설치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3일 섬진강 본류 하천수를 여수·광양산단에 공급하는 예비 방안을 준비하라고 환경부에 지시하기도 했다.

이미 제한급수가 시작되는 등 물 대란을 겪고 있는 도서 지역에는 물차, 병입수돗물 등을 긴급 지원했다. 섬 지역은 광역상수도를 사용하는 육지와 달리 좀 더 규모가 작은 지자체별 상수도나 물탱크에서 물을 공급받는 경우가 많아 물 부족이 더욱 심각하다.

이번 남부 가뭄을 통해 부처별, 지자체별로 쪼개졌던 물 관리의 일원화도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물 관리 기본법 통과로 홍수나 가뭄 등 기후위기 대응의 기본적인 틀도 마련된 상태다. 김고응 환경부 물정책총괄과장은 “절수와 같은 단기 정책뿐 아니라 가뭄이 장기화되거나, 자주 발생할 것에 대비해 항구적인 가뭄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예윤 기자 yeah@donga.com
#남부 50년만#최악 가뭄#물 대란 대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