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수 3년째 곤두박질…女, 男 추월 ‘역대 최대’

  • 뉴스1
  • 입력 2023년 1월 15일 12시 15분


코멘트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가 3년 연속 감소했다. 감소 폭도 가팔라졌다. 서울과 부산 등 주요 대도시 인구도 일제히 줄었다.

여자가 남자보다 많은 가운데, 그 격차는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1인 세대는 ‘1000만 세대’ 돌파가 임박했고, 고령화 현상 역시 더 뚜렷해졌다. 여자 인구 중 고령층 비중이 20%대를 돌파했다.

1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2년 12월31일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43만9038명으로 2021년(5163만8809명)에 비해 19만9771명이(0.39%) 줄었다.

주민등록 인구는 2020년 5183만명을 기록한 이후 3년 연속 줄었다. 감소 폭은 2만1000명→19만명→20만명으로 확대됐다.

2022년 인구의 자연적 요인(출생-사망) 감소는 11만80003명, 장기 거주불명자 직권 말소는 10만1938명이다.

출생자는 25만4628명으로 전년보다 3.23% 줄었다. 출생자는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사망자 수는 3년 연속 증가해 자연적 요인(출생-사망)으로 인한 인구 감소는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女>男’ 인구 격차 ‘역대 최대’…1인 가구 ‘1000만 세대’ 돌파 임박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2022년 인구를 성별로 보면, 남자 인구는 2563만6951명(49.8%)로 4년 연속 감소했다. 여자는 2580만2087명(50.2%)로 2년 연속 감소했다.

남·여간 인구격차는 16만5136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여자 인구는 2015년 처음으로 남자 인구를 추월한 바 있다.

출생자는 남아가 13만167명으로 여아(12만4461명)에 비해 5706명 많았다. 출생 성비는 104.6으로 전년(105.1) 대비 하락했다.

주민등록 인구 감소세는 지속되고 있는 반면, 1인 세대의 비중이 커지면서 세대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세대수 증가는 해마다 지속되고 있으며, 2022년 세대수는 전년 대비 23만2919세대(0.99%↑) 증가한 2370만5814세대를 기록했다.

평균 세대원수는 사상 최저치인 2.17명으로 감소했다.

1인 세대는 972만4256세대(41.0%)를 기록해 1000만 세대 돌파를 앞두고 있다. 1인세대 비중은 2021년 사상 첫 40%를 넘어선 이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1·2인 세대는 전체의 65.2%로 전년 비중(62.4%)보다 1%p 증가했다. 3·4인세대는 2021년 35.7%에서 2022년 34.7%로 줄어 감소세를 이어갔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 18%…여성 고령층 20% 돌파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후, 고령(65세 이상)인구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2년 말 전체 인구의 18.0%를 차지했다.

여자의 고령인구 비중은 20.1%로 처음으로 20%를 돌파했으며 남자(15.9%)보다 4.2%p 높았다.

연령대별로 10대 미만과 20대, 30대, 40대 인구는 감소했고 나머지 연령대는 증가했다.

전체 인구 중 50대가 16.7%로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40대 15.7%, 60대 14.4%, 30대 12.9%, 20대 12.48%, 70대 이상 11.82% 순이었다. 10대와 10대 미만은 각각 9.1%, 6.9%로 한 자릿수에 그친다.

성별을 기준으로 보면 50대 이하에서는 남자 인구가 더 많고, 60대 이상에서는 여자 인구가 더 많았다.


◇서울·부산 등 인구 감소…충남·울산·경기 고령화 가속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행정안전부 제공. @News1


지자체별로 인구 동향을 보면, 전체 17개 시·도 중 인구가 증가한 곳은 경기(2만3982명↑)·인천(1만8939명↑)·세종(1만1696명↑)·충남(3780명↑)·제주(1400명↑) 등 5곳 뿐이다.

서울은 8만1086명 줄어든 943만명, 부산은 3만2568명 감소한 332만명, 대구는 2만1721명 줄어든 236만명이다. 서울의 인구 감소는 주거 문제 등의 사회적 요인이 컸다.

시·군·구는 인천 서구(3만3633명↑), 경기 화성시(2만3799명↑), 경기 평택시(1만4241명↑), 경기 파주시(1만2070명↑), 충남 아산시(9959명↑) 등 52곳이 증가했으며 나머지 174곳은 감소했다.

전남(25.17%), 경북 (23.78%), 전북(23.20%), 강원(22.77%), 부산(21.47%), 충남(20.58%) 등 6곳은 초고령사회였다.

특히 전년도와 비교하면 충남(고령→초고령), 울산(고령화→고령), 경기(고령화→고령) 등 3곳은 각각 인구 연령이 더 높아졌다.

226개 시·군·구 중 시 지역 75곳 중 초고령사회는 42.7%에 달하는 32곳이었다. 고령사회는 30곳, 고령화사회는 13곳이다.

군 지역 82곳 중 대부분인 76곳(92.7%)이 초고령사회였으며 고령사회는 6곳이다. 구 지역 69곳 중 고령사회는 58%인 40곳, 초고령사회는 23곳, 고령화사회는 6곳이다.

한창섭 행안부 차관은 “정부는 국가적인 당면과제인 인구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범정부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며 “관계부처와 협력해 자치단체가 각자 특성에 맞는 정주여건 개선, 일자리 창출 등 지역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