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교양교육, 대한민국 미래 이끌 인재양성의 첫걸음”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2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이근면 전 인사혁신처장
이근면 전 인사혁신처장
 최근 수년 동안 기업과 학교, 사회에서 교양교육과 인성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채용방식과 면접방식까지 바뀌고 있다. 이유가 무엇일까. ‘교양’이 앞으로 살아갈 인재의 필수적 역량으로 이해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은 지금과 같은 형태로 충분할까.

 인공지능이 회사를 운영하고 공장을 움직이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몰려오고 있다. 최근 세계경제포럼에서 ‘앞으로 5년간 710만 개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듯이 일자리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국가와 사회, 그리고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도 변화해 왔다.

 4차 산업혁명은 일자리 혁명을 가지고 올 것이다. 특정 인종이나 국가에 귀속되지 않고 세계를 삶의 터전으로 하는 시대가 개막될 것이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려면 특정 영역의 비중보다는 기본적 역량을 넓히는 것이 유리하며 이것이 바로 인성교육과 교양교육이다.

 현재 대학에서의 전공제도가 미래에도 유효할까. ‘코딩’을 예로 들자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맞춤교육’을 도입하여 코딩 전문가를 육성하는 것인지, 필요한 인재가 단지 특정 영역의 전문가인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특정 분야의 전공 교육보다는 폭넓은 소양과 논리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생각하는 영역’이 미래의 경쟁력이 될 것이고, 이것은 결국 교양교육의 영역이다.

 먼저 대학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잘 가르칠 것인가’보다는 학생이 배운 것을 어떻게 쓸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학문적으로 협동의 필요성을 가르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에 필요한 기본적 능력인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도덕적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은 창의적이고 전문성 있는 사람을 키우는 것,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이 중요한 핵심 역량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제 교양교육은 더 이상 전공자의 영역이 아니며, 전공과 비전공의 영역을 떠나 모든 대학 학습자 전원에게 꼭 가르쳐야 하는, 전공과 동등한 비중이 있는 영역의 교육이다.

 이 같은 교양교육은 ‘인성’과 ‘인문학적 소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성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소통, 더불어 사는 삶 등 전통적으로 가정의 영역이었던 부분이 이제 학교가 담당해야 할 영역으로 떠올랐다. 한편으로 기존 인문학적 소양의 영역을 확대하여, 소프트웨어나 과학기술의 이해까지 보편적 영역의 교양교육의 범주에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전달’이 아닌 ‘활용’을 목표로 한 방식으로 교육의 목표와 학습방식이 바뀌어야 한다. ‘어디에 쓸 것인가’가 한층 중요해진 것이다. 지식의 전달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가치를 만드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교양교육의 문제는 각 대학의 문제를 넘어 교육 당국의 전반적인 국가의 미래교육 정책으로 수렴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하고 중요한 활동에 이르는 생애주기를 감안하여 30년 이상의 계획을 갖고 장기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우리는 지난 70년을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찾아내 오늘을 만들어 왔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미래 100년을 만들어가자면 그 인재양성의 키는 미래 사회를 살아낼 세대가 제대로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그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다. 그 첫걸음은 교양교육의 재정립과 끊임없는 추진에 있다. 
 
이근면 전 인사혁신처장
#4차 산업혁명#인성#인문학적 소양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