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안동-예천시대…수도권∼남부권 잇는 ‘국토 허리경제’ 큰 꿈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2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경북도청이 안동시로 이전을 마치고 22일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하회마을 부근 검무산 자락에 자리한 신청사 전경. 오른편에 경북도의회가 있다. 이달 말에는 신청사에서 약 700m 떨어진 곳으로 경북도교육청이 이전한다. 안동=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경북도청이 안동시로 이전을 마치고 22일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하회마을 부근 검무산 자락에 자리한 신청사 전경. 오른편에 경북도의회가 있다. 이달 말에는 신청사에서 약 700m 떨어진 곳으로 경북도교육청이 이전한다. 안동=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22일 경북도의 ‘안동시대’가 열렸다. 이날 안동시 풍천면 신청사에서 김관용 도지사를 비롯해 경북도 직원들이 첫 업무를 시작한 것이다.

안동 신청사 첫날은 독도 수호를 위한 결의를 다지며 시작됐다. 공교롭게 이날 일본 시마네(島根) 현이 ‘죽도(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의 날’ 행사를 열었기 때문이다. 1500여 명의 직원들은 이날 오전 신청사 본관 앞 광장에 모여 “독도와 잠시도 떨어지지 않는 자세처럼 굳건히 도정을 챙겨 나라 발전을 이끌도록 하자”고 다짐했다.

○ 안동 신도청 시대 열렸다

경북도청은 대구에 마치 섬처럼 자리하고 있었다. 새 둥지를 마련하기까지 길고도 어려운 과정을 거쳤다. 1981년 대구가 직할시로 승격돼 분리되면서 경북도청 이전 논의가 시작됐다. 그러나 중앙정부의 이전 불가 방침으로 곧 흐지부지됐다. 1991년 지방자치제가 부활하면서 다시 이전 논의가 불거졌으나 별다른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1995년 민선단체장 시대가 열리면서 경북도청 이전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이전지 결정을 놓고 갈등이 생겼다. 2000년대 들어서는 “차라리 대구시와 경북도를 통합하는 게 낫다”는 이야기까지 나올 정도였다.

2006년 민선 4기 김관용 도지사가 취임한 뒤 이전추진위원회가 결성되면서 속도가 나기 시작했다. 마침내 2008년 6월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가 후보지로 최종 결정됐다. 전남도청(2005년)과 충남도청(2013년)에 이어 경북도청 이전이 결정되면서 관할 행정구역이 일치하지 않는 광역도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지난해 4월 완공된 신청사는 벌써부터 매달 2만여 명이 방문할 정도로 관광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근처의 하회마을(세계문화유산)을 찾는 관광객 대부분이 신청사를 찾고 있다. 기와 65만 장을 얹은 한옥 청사는 공원처럼 아름답게 가꾼 조경과 어울려 빼어난 건축미를 뽐낸다. 공공청사는 딱딱한 분위기라는 기존의 인식을 바꾼 것이다. 건축학 교수 출신인 탈립 리파이 유엔세계관광기구(UNWTO) 사무총장은 지난해 10월 신청사를 둘러보고 “한국의 건축물 가운데 이처럼 전통과 현대가 잘 조화된 경우는 드물다”고 평가했다.

청사 이름에도 품위를 더했다. 정문 역할을 하는 솟을대문(가로 17m, 높이 7m)은 주민 화합을 뜻하는 ‘경화문’이다. 7층인 본관은 주민을 위한 편안한 행정을 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안민관’으로 이름 지었다. 4층에 있는 대강당은 신라 화백제도를 본떠 ‘화백당’으로 부른다. 본관 앞뜰은 크게 화합하자는 의미로 대동마당이다.

경북도의회(의장 장대진)는 도민과 함께한다는 의미에서 ‘여민관’으로 이름 붙였다. 본관 앞에 기둥 60개를 세워 지은 회랑(81m)은 신청사 부근에 있는 병산서원의 유명한 건축인 만대루를 본떴다. 병산서원은 임진왜란을 이겨낸 서애 류성룡을 추모하는 서원이다. 신청사 곳곳에 경북의 역사와 전통, 정신을 담았다.

신청사는 친환경건축물 최우수등급과 에너지효율 1등급 등 건축물 주요 인증을 받았다. 청사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30%는 태양광과 지열,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한다. 권영세 안동시장과 이현준 예천군수는 “이전지 결정 후 오늘을 손꼽아 기다렸다. 안동과 예천이 경북의 도청 소재지로서 나날이 발전하도록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정식 개청식은 다음 달 열린다. 경북도교육청은 이달 말까지 이전하며 경북지방경찰청은 내년 상반기 이전할 예정이다.

○ 국토의 ‘허리 경제’ 부푼 꿈

22일 경북 안동시 경북도청 신청사에서 김관용 지사(앞줄 왼쪽에서 다섯 번째) 등 도 간부들이 ‘대한민국의 중심 경상북도’라고 새긴 표지석 제막식을 마친 뒤 박수를 치고 있다. 경북도 제공
22일 경북 안동시 경북도청 신청사에서 김관용 지사(앞줄 왼쪽에서 다섯 번째) 등 도 간부들이 ‘대한민국의 중심 경상북도’라고 새긴 표지석 제막식을 마친 뒤 박수를 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은 면적이 1만9029km²로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가장 넓다. 서울(605km²)의 31배 크기다. 그동안 포항 경주 등 남부권과 구미를 중심으로 하는 중부권에 비해 경북 북부는 낙후된 지역으로 꼽힌다. 이번에 경북도의 새 도읍지가 안동과 예천에 자리 잡으면서 경북 북부권의 발전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이유다.

새로운 터전을 잡은 경북도청은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새로운 발전 축으로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108km 떨어진 정부세종청사와 위도(북위 36도)가 같다. 이 때문에 “세종청사는 서울에서 내려오고 경북도는 위로 올라가 만나면서 수도권과 남부권을 잇는 허리가 됐다”는 말이 나온다. 경북도는 이를 ‘국토 허리경제권’으로 부른다.

경북도는 세종시와 신청사를 잇는 도로를 비롯해 신청사에 전국 어디서나 편리하게 접근하는 사통팔달 교통망을 구축하고 있다. 충청권과 강원권 지자체와 협력해 국토의 허리경제를 튼튼하게 만들겠다는 구상을 마련하고 있다. 신도시가 조성된 후 생산유발 등 경제적 효과는 30조 원가량으로 예상된다.

신청사 이전을 결정하고 실현시킨 김관용 도지사는 “6선 단체장을 하면서 오늘처럼 가슴 뛰었던 적이 없었던 것 같다”며 “새로운 경북 시대가 지역과 나라 발전의 디딤돌이 되는 모습을 증명해 보이겠다”고 말했다.

안동=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수도권#남부권#경북도청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