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노루야, 제발 잡혀다오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5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13일 오후 5시 제주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작은 화산체인 둔지봉 일대에서 ‘노루몰이’가 이뤄졌다. 콩, 무 등을 재배하는 밭 주변 덤불에서 야생생물관리협회 제주도지부의 ‘노루생포 이주사업단’ 6명이 사냥개와 함께 소리를 지르며 노루를 그물망이 쳐진 곳으로 몰았다. 하지만 별다른 소득은 없었다. 고사리철을 맞아 관광객, 지역주민들이 들판을 돌아다니면서 노루들이 은신처로 피신했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7월 노루를 유해동물로 지정하는 야생생물보호관리조례 시행을 앞두고 지난달 29일부터 시범적으로 노루 생포 및 이주 사업을 벌이고 있다. 다음 달 말까지 시범적으로 한 뒤 문제점 등을 분석해 효과적인 생포 방법을 마련할 계획이다.

○ 노루 생포, 첩첩산중

시범 포획을 실시한 결과 지금까지 12마리를 잡았다. 이 노루들을 제주시 봉개동 노루생태관찰원으로 넘겼다. 전문가들의 활동 치고는 다소 적은 수다. 엽총으로 실탄을 쏘는 포획작업이 아니기 때문에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이주사업단은 마취 총으로 노루를 생포하고 있다. 문제는 마취 총의 사거리가 최대 40m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야생 노루들은 70∼80m까지 접근하면 인기척을 알아차리고 숲 속으로 도망가기 일쑤다. 차량에 둔하다는 특성을 이용해 차에서 마취 총을 발사하고 있지만 밭 한가운데나 억새 검불에 있는 노루를 잡기는 쉽지 않다. 마취 총에 맞은 노루는 그 자리에 있지 않고 곧바로 달아났다가 4∼5분 지나야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현장을 떠난 노루를 찾는 것도 힘든 일이다. 처음 마취 총으로 노루를 생포하면서 시행착오를 많이 겪고 있다. 이주사업단은 다양한 마취약과 용량을 시도한 끝에 최적의 조건을 찾아냈다. 제주도 한라산연구소 오장근 박사는 “마취 총의 사거리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노루를 생포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먹이가 부족한 겨울철에 밭으로 접근하는 노루들을 한꺼번에 몰아서 그물로 사로잡는 것을 최적의 방법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 노루 포획 부작용 우려

제주도는 이주사업과 별도로 7월부터 농민들의 신청을 받아 포획을 공식 허가할 예정이다. 제주도 한상기 환경자산보전담당은 “밭농사를 망친다는 농민들의 원성이 자자해 노루를 3년 동안 한시적으로 유해동물로 지정했다”며 “농작물 피해지역 농민에 한해 포획 수량 등을 신청하면 심의를 거쳐 허가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포획 방법. 농민들이 엽사에게 의뢰해 포획할 수 있지만 올무나 덫 등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는 철사로 만든 올무에 야생동물이 걸리면 숨질 때까지 고통의 시간을 보내야 한다. 더욱 무서운 것은 창애로 불리는 덫이다. 이 덫은 오름(작은 화산체)을 다니거나 고사리를 꺾는 주민의 발이 닿으면 발목이 잘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주사업단 고춘기 단장은 “올무나 덫을 허용하면 합법을 가장해 불법적인 포획 장비가 만연할 것”이라며 “포획 방법 허가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지역 야생 노루는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멸종위기에 놓였으나 1987년부터 먹이 주기, 밀렵 단속, 올가미 수거 등 다양한 보호 활동을 펼치면서 개체수가 늘어 1만7700여 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적정 개체인 3300마리의 5배가량이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제주#노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