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내년부터 주민이 직접선출

  • 입력 2006년 11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지금까지 초중고교 학교운영위원회 위원들이 선출해 온 교육감과 교육의원(현재는 교육위원)을 내년부터 주민이 직선으로 선출하고 독립기관이었던 시도교육위원회가 지방의회의 상임위원회로 통합 운영될 전망이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7일 전체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가결했다. 이 개정안은 여야가 이미 합의한 사항을 담고 있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할 것으로 보인다.

교원단체와 시도교육위원회협의회 등은 교육의 정치 예속이 심화될 것이라며 이 법안에 반발하고 있다.

▽직선제로 전환=현재 제주도를 제외한 15개 시도에선 초중고교의 학운위원이 주민을 대표해 교육행정 책임자인 교육감과 교육행정 의결기구인 교육위원회 위원을 간접 선출하고 있다.

개정안은 간접 선출제가 주민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반영해 교육감은 내년 부산·충북·경남도 교육감 선거부터, 교육의원은 2010년부터 지방선거를 실시할 때부터 주민 직접 선거로 선출하도록 했다.

교육감과 교육의원 입후보 자격은 현재와 같이 교육감은 교육 경력 5년 이상, 교육의원은 교육 또는 교육행정 경력 10년 이상 또는 두 경력 합산 10년 이상이다. 교육감 후보자는 선거일 기준으로 2년간 정당 가입 경력이 없어야 한다. 국회의원 지방의원 교육의원과 공무원, 사립학교의 교원이나 경영자, 사학법인의 임직원은 교육감 선거에 출마할 수 없다.

▽교육위 구성=시도교육위는 시도의회의 교육 관련 상임위로 통합된다. 지금은 선거로 뽑은 교육위원으로만 교육위를 구성하지만 앞으로는 1명 더 많은 과반수만큼을 교육의원으로, 나머지는 시도의원으로 구성한다. 이는 교육의 전문성을 감안한 조치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한국교원노동조합 등 교원단체와 전국시도교육위원회협의회 등은 교육감과 교육의원 주민 직선제에 찬성하면서도 교육위를 시도의회에 통합하는 것에 대해선 반대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교육위가 시도의회에 통합되면 교육이 정치 논리에 예속돼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교육위원은 대부분 교육계 인사이지만 교육위가 시도의회에 통합되면 교육계의 몫이 절반밖에 안 돼 교육계 인사의 활동 영역이 지금보다 줄어들게 된다.

후보자 개개인이 직접 주민을 상대로 선거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선거비용이 늘어나고 선거 관련 비리가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외국의 지방자치=영국은 교육위를 지방의회의 상임위원회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교육의원은 20∼40명 선이다. 정원의 50% 이상을 지방의원이 맡으며, 정원의 50% 이내에서 외부 전문가를 선임한다.

일본도 교육위를 지방의회의 상임위원회로 두고 있다. 지자체장이 지방의회의 동의를 얻어 교육의원을 임명한다. 교육위는 합의제 집행기관으로 운영된다. 교육감은 광역자치단체는 문부과학상이 임명하고 기초자치단체는 교육위원 가운데 선출해 교육위에서 임명한다.

미국은 주정부가 교육에 대한 최종 책임을 지며 주별로 지방자치단체별로 다양한 형태로 교육위를 운영하고 있다. 교육위는 교육에 관한 심의 의결 기능과 자문 기능을 수행하되 중요한 정책 결정은 교육감과 주지사를 거쳐 주의회에서 의결한다. 교육감은 대개 주민 직선이다.

이인철 기자 inchul@donga.com

장강명 기자 tesomio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