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폐연료 저장고 2008년 포화”

  • 입력 2004년 7월 20일 18시 03분


코멘트
원자력발전소별로 임시 저장돼 있는 원전 폐기물이 총 저장용량의 7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2006년부터 순차적으로 발전소별 저장시설이 포화상태에 이를 전망이어서 원전수거물관리시설(원전센터) 건립이 계속 지연될 경우 전력공급체계에까지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일 한국전력공사 자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 따르면 방사선 수치가 높은 ‘사용후 연료’ 저장량은 작년 말 현재 6588t으로 총 저장용량의 67.2%에 이르렀다. 또 중·저준위 수거물은 6만1563드럼(200L 기준)으로 67.6%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원전별로는 월성원전의 사용후 연료 임시저장고가 2006년에 포화상태에 도달한다. 이어 울진은 2007년, 고리와 영광은 2008년에 저장 용량이 바닥을 보일 전망이다.

중·저준위 수거물은 울진이 2008년으로 가장 먼저 포화상태에 이르며 월성은 2009년, 영광 2011년, 고리 2014년으로 집계됐다.

한수원은 이에 따라 사용후 연료를 지금보다 더 빼곡히 채우는 ‘조밀저장법’ 등을 통해 임시 저장고의 용량을 늘리고 추가 저장고를 짓는다는 방침이지만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많다.

한수원 관계자는 “조밀저장법을 이용하면 사용후 연료 저장고의 포화상태 도달 시기를 2016년으로 늦출 수 있다”며 “하지만 원전 수거물을 영구 보관할 수 있는 시설이 없으면 그때 가서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시저장고를 추가로 짓는 문제도 인허가권을 갖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들의 반발로 인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영광원전의 제2임시저장고는 준공 후 사용승인까지 4년이 걸렸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인 녹색연합 이버들 간사는 “저장방식을 바꾸면 100년 정도 추가 보관이 가능하다”며 “정부의 논리는 국민적 합의도 없이 원전수거물 관리시설 건립을 강행하겠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한편 원전센터 유치를 위한 주민청원서를 제출한 7개 시군의 시장군수 전원이 예비신청을 하지 않겠다는 본보 보도가 나간 뒤 원전센터 유치에 찬성하는 주민들의 반발도 나오고 있다.

전북 고창군 원전수거물관리시설유치추진위원회 박상근 위원장은 “고창군수와의 면담을 통해 예비신청 거부 의사를 철회토록 요구할 방침”이라며 “군수가 예비신청을 해야 주민투표를 실시할 수 있는 만큼 예비신청을 하지 않겠다는 것은 지역민의 의사도 묻지 않겠다는 의도”라고 말했다.

사용후 연료와 중·저준위 수거물:사용후 연료는 원자로에서 3∼5년간 연소된 뒤 나온 방사성 폐기물. 중·저준위 수거물은 방사선 수치가 낮은 근로자 작업복이나 공구, 공정 부산물 등이다.


고기정기자 koh@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