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최재형, 순국 103년 만에 부인과 현충원 합장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8월 1일 15시 43분


코멘트
최재형 선생과 부인 최 엘레나 여사의 사진. 옛 흑백 사진을 인공지능(AI) 기술로 생생한 컬러 사진으로 복원했다. 보훈부 제공
최재형 선생과 부인 최 엘레나 여사의 사진. 옛 흑백 사진을 인공지능(AI) 기술로 생생한 컬러 사진으로 복원했다. 보훈부 제공
항일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1860~1920)과 부인 최 엘레나 여사의 합장식이 1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다고 국가보훈부가 1일 밝혔다. 최 선생의 유해는 아직까지 찾지 못했기에 선생의 순국 장소로 추정되는 러시아 우수리스크 현지의 흙과 최 여사의 유해를 함께 안장하는 행사다.

선생의 묘는 1970년 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조성됐다가 2009년 가짜 후손에 의해 엉뚱한 시신이 묻혔다는 사실이 확인돼 지금은 빈터로 남아있다. 하지만 지난달 17일부터 순국선열의 위패와 배우자 유해를 합장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국립묘지법 개정안이 시행됐다. 이에 70여 년간 키르기스스탄 공동묘지에 묻혀있던 최 여사의 유해와 선생의 순국장소 추정지 흙을 국내로 들여와 합장할 수 있게 된 것.

보훈부는 최재형선생기념사업회와 함께 키르기스스탄 현지에서 최 여사의 유해를 수습한 뒤 7일 인천국제공항으로 봉환할 예정이다. 또 선생의 순국 장소로 추정되는 우수리스크의 최재형 기념관 뒤편 언덕에서 채취한 흙은 11일 국내로 들어온다. 이어 12~13일 서울현충원 현충관에 국민추모공간을 마련해 다양한 추모참배 프로그램을 운영한 뒤 14일 합장식을 개최한다고 보훈처는 전했다.

최 선생은 9세 때 부모를 따라 시베리아 연해주로 이주한 뒤 사업가로 축적한 부를 조국독립과 수십만 시베리아 이주동포들을 위해 사용했다. 국외 항일조직인 ‘동의회(同義會)’를 만들어 항일의병투쟁을 전개하고, 안중근 의사의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재무총장으로도 선출됐다. 이처럼 활발히 독립운동에 나서고 한인사회에 기여한 점을 인정 받아 ‘시베리아 동포의 대은인’으로 추앙받았다

부인 최 여사는 1897년 선생과 결혼 후 8명의 자녀를 낳고 선생의 독립운동을 내조했다. 안 의사 순국 이후엔 그의 남은 가족도 보살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생의 순국 이후엔 힘겨운 생활을 이어가다 1952년 사망 후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공동묘지에 안장됐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