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무량판 부실시공, 비용 얼마 들더라도 조치할 것”

  • 뉴시스
  • 입력 2023년 7월 31일 16시 16분


코멘트

91개 단지 중 15개, 보강철근 부족
"주거 부분 안전은 우려되는 상황 아냐"
"모든 아파트로 불안 확대할 필요 없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무량판으로 발주해 시공사를 선정한 단지 중 상당수에서 철근이 누락된 것과 관련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31일 “비용이 얼마가 들더라도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철저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 장관은 이날 오후 열린 ‘LH 무량판구조 조사결과’ 브리핑에서 “2017년 이후 LH가 무량판으로 발주해 시공사를 선정한 91개 단지 중 15개 단지에서 기둥 주변 보강철근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설계와 감리, 시공 전 과정에서 부실을 적발했다”고 말했다.

원 장관은 “일부는 설계 과정부터 기둥 주변 보강철근이 누락됐고, 일부는 설계도대로 시공되지 않았다”며 “정부는 신속하고 완벽하게 보강조치를 진행해 부실 무량판 구조가 한 군데도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원 장관은 “15개 단지 중 7개 단지는 보강조치에 착수했고, 나머지 8개 단지도 조속히 착수할 예정”이라며 “조치가 끝나면 주민들이 추천하는 전문기관을 통해 정밀안전점검을 거치는 등 한 치의 우려도 남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다.

다만 “이번에 문제가 된 LH아파트는 무량판을 적용한 지하주차장의 기둥 부위에 해당되고, 주차장 상부에 건물이 없어 주거 부분에 대한 안전이 우려되는 상황은 아니다”라며 “아파트는 관련 법령에 따라 2~4년 주기로 정밀안전점검을 받고 있어 모든 아파트에 대한 근거 없는 불안으로 확대할 필요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또 “건설 분야의 이권 카르텔을 뿌리 뽑고, 과거 관행적으로 있던 안전불감증, 그로 인한 부실시공 일체를 비용이 얼마가 들더라도 철저하게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다.

한편 국토부는 민간이 불주한 무량판 구조에 대해서도 전수조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현재 국토부는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아파트에 대한 현황 파악을 끝내고 향후 구체적인 안점점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안전점검 결과에 따라 문제가 있을 경우 정밀안전진단을 거쳐 보강공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