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새마을금고 방만 경영…소관기관 금융위로 옮겨야”

  • 뉴시스
  • 입력 2023년 7월 10일 15시 25분


코멘트

"선거 부정·횡령, 부실 대출 등 금융사고 노출"
"서민 상호금융기관 미명 아래 자기 혁신 미뤄"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10일 새마을금고 연체율 급증 사태와 관련해 “방만한 구조를 근본적으로 손봐야 한다. 소관 기관을 행정안전부에서 금융위원회로 옮기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권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새마을금고 연체율 급증과 대규모 인출 사태가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며 “정부 총력전으로 조기 진화한 것은 다행이지만, 새마을금고의 방만한 경영은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권 의원은 “창립 이래 60년 동안 금융 자산 규모 284조원, 거래 고객만 2262만명에 이를 정도로 규모를 키워왔다”면서도 “일부 금고는 선거 부정 및 횡령, 부실 대출 등 금융사고와 정치권 유착 등 문제를 노출했다”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기형적 조직구조도 문제다. 전국 1294개 금고 임직원 2만8891명 중 임원만 무려 47%에 이른다”며 “중앙회장 연봉은 6억5000여만원, 상근임원은 5억3000여만원에 달하는 등 막대한 고액 연봉을 받는다. 오죽하면 별명이 ‘신의 금고지기’겠나”라고 비꼬았다.

이어 “고액연봉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성과가 좋으면 보상도 높아야 한다”면서도 “새마을금고처럼 수십년 동안 방만한 경영과 비리를 지적받고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까지 야기했으면 경영진의 고액연봉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일반 금융기관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으면 경영진은 문책받고 물러났을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권 의원은 “새마을금고는 서민의 상호금융기관이라는 미명 하에 자기 혁신을 미뤄왔다. 스스로 위기를 초래해 놓고 경영진은 고액연봉 돈 잔치를 벌였다”며 “이익은 사유화하고 위험은 공유화했던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제 방만한 구조를 근본적으로 손봐야 한다”며 “지금보다 엄격한 감독체제를 위해 소관 기관을 행안부에서 금융위로 옮기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대출 연체율이 급등한 가운데 일부 새마을금고 지점에서 수백억원 대출 부실로 다른 지점과 인수합병되면서 금융시장 불안이 가중돼 왔다.

특히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6%대까지 치솟았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일부 지점에서 뱅크런 조짐이 나타나기도 했다. 지난 4월 말에는 새마을금고 수신 잔액이 두 달 전보다 약 7조원이 빠져나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정부는 새마을금고 예금 인출이 둔화하고 재예치가 증가하는 등 사태가 진정세에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건전성이 우려되는 특정 금고를 인수합병할 경우 고객 예·적금을 100% 전액 보장하겠다고 발표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