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 하루 앞두고…尹, 공개 일정 없이 마지막 점검

  • 뉴스1
  • 입력 2023년 5월 6일 14시 18분


코멘트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뉴스1 DB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뉴스1 DB
한일 정상회담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6일, 윤석열 대통령은 6일 공개 일정 없이 마지막 준비에 집중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이날 특별한 공개 일정 없이 정상회담 준비에 몰두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7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다. 윤 대통령의 지난 3월 방일에 대한 답방으로 2011년 이후 12년 만의 셔틀외교 복원을 의미한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안보와 첨단산업 및 과학기술, 청년 및 문화협력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한 양국 대응은 이번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가 될 전망이다. 기시다 총리의 방한이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된 배경에는 한미 간 공조가 강화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북한의 위협이 고조되는 가운데 한일 간 안보 협력에 대한 공감대는 마련돼 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북핵에 대한 대응을 위해 양국 간 정보 교류 등을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미국은 ‘워싱턴 선언’으로 북한에 대한 확장억제를 강화하고, 핵협의그룹(NCG) 그룹 신설에도 합의했다. 일본으로서는 한미일 3국이 참여하는 안보협의체 신설 등을 요구할 가능성도 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도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한일 정상회담 후 일본에서의 잇따른 보도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는 뜨거운 이슈가 되기도 했다. 일본 교도통신은 한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윤 대통령이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에 관해 시간이 걸려도 한국 국민의 이해를 구하겠다’는 취지의 말을 했다고 보도했다. 정부는 일본 측에 유감 표명 및 재발 방지를 요청했고, 대통령실은 “국민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일이 있다면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일본은 오염수 처리 과정을 검증 중인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지난 4일 일본 규제당국이 선정한 측정 대상 핵종에 주요 핵종이 배제되지 않아 사실상 문제가 없다는 중간 보고서를 낸 점을 근거로 협상을 펼칠 수 있다.

정부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와 관련해서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식,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검증, 한국 전문가의 참여 등의 조건을 들며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기시다 총리의 방한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부분은 과거사 문제에 대한 사과가 이뤄질지 여부다. 지난 3월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총리는 역대 내각의 인식을 계승한다고 했지만 직접적인 사과는 없었다.

정부는 일본 스스로 결단할 문제라면서도 성의 있는 호응을 기대하고 있다. 가능성은 작지만, 한일, 한미일 공조 등을 고려해 기시다 총리가 과거보다 진전된 수준의 메시지를 낼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한편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정상회담을 한 후 양국 정상 부부는 만찬을 함께하는 등 친교의 시간을 가질 계획이다. 만찬상에는 숯불 불고기와 한국식 청주 등 전통 한국 음식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