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 세진 靑경호실… ‘피습 트라우마’ 반영됐나

  • Array
  • 입력 2013년 1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 5년만에 장관급 승격

대통령 경호실의 부침이 새삼 관심거리다.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실 소속 경호처(차관급)로 낮춰졌다가 박근혜 정부에서 다시 대통령 비서실과 독립된 경호실(장관급)로 복원되기 때문이다. 경호실로의 승격은 박근혜 당선인의 뜻에 따른 것이다. 경호실은 박정희 대통령 시절 ‘권부’의 상징처럼 인식돼 온 터라 정치권에선 이런저런 말들이 나왔다.

○ 인생 트라우마가 이유?

유민봉 국정기획조정분과 간사는 25일 “차관이 장일 때와 장관이 장일 때 (경호실) 구성원이 가지는 사기의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대선 때 박 당선인을 적극 지지한 경호실 출신 인사들은 경호처를 경호실로 복원해야 한다는 주장을 강하게 피력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비서실에서 독립시키더라도 굳이 ‘작은 청와대’ 기조를 깨면서까지 장관급으로 격상시킬 필요가 있느냐는 의문이 남는다. 선진국 중에서 경호실장이 장관급인 나라는 없다. 미국은 국토안전부 비밀수사국에서 경호를 담당하며 수장은 차관보급이고 독일 프랑스 일본 등도 경찰이 경호를 담당하며 책임자는 차관보급이나 국장급이다.

무엇보다 박 당선인의 아픈 과거에서 배경을 찾는 시각이 있다. 부모를 모두 흉탄에 잃고 자신도 2006년 지방선거 유세 때 테러를 당해 생명을 잃을 뻔했던 만큼 일종의 ‘트라우마’(정신적 외상)가 내재돼 있다는 것이다.

당선인의 한 측근은 “북한의 사주를 받은 문세광의 총탄에 어머니를 잃지 않았느냐”며 “3차 핵실험을 한다고 떠드는 등 북한이 갈수록 우려스러운 행태를 보이는 데 대해 좀 더 책임 있게 안전을 챙기는 게 낫다고 생각했을 것 같다”고 분석했다.

당선인 측 관계자는 경호실장이 장관급이어야 경호가 잘되는 것이냐는 비판적 시각에 대해 “비서실이 비서 본연의 기능으로 돌아가는 것처럼 경호 역시 업무 자체가 특수하니 비서실과 별도로 본래 상태로 복귀하는 것 외에 특별한 의미는 없다”고 설명했다.

○ 청와대의 주인은 경호실?

경호실은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는다. 박 전 대통령은 대통령 첫해인 1963년 12월 경호실을 신설했다. 그 전까지 대통령 경호는 경찰 몫이었다. 경호실의 권부 이미지는 1970, 80년대에 형성됐다. 박 전 대통령 임기 말 차지철 경호실장은 그 정점에 서 있었다. 차 실장은 매일 아침 대통령 비서실장보다 먼저 대통령을 만나 주요 시국 현안을 보고하고 관계기관에 대통령의 뜻을 지시했다. 효자동 근처에 별도의 정보기구 사무실을 만들었고 중앙정보부장에게서 매일 아침 보고를 받았다. 차지철의 ‘자공달(子供達·작은 아이들)’로 불리는 인맥을 만들어 당과 국회까지 관여했다.

김영삼 정부 때 민간 출신 경호실장이 탄생한 후 조금씩 약해지긴 했지만 경호실의 위상이 지나치게 크다는 지적은 계속됐다. 경호실 구성원은 대통령이 바뀌어도 대부분 유지된다. 이 때문에 청와대의 주인은 대통령이 아니라 ‘경호실’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명박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인 2008년 1월 경호실을 대통령실장 산하 차관급으로 낮추는 청와대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이명박 정부의 경호처는 권력 이미지를 뺀 순수 경호를 지향했으나 내곡동 사저 문제 등으로 오점을 남겼다. 민주당 윤관석 원내대변인은 경호실로의 승격에 대해 “3공의 부활은 아닌지 의심의 눈초리를 거둘 수 없다”고 주장했다.

[채널A 영상] 5년 만에 경호실 부활…박근혜 트라우마 때문?

동정민·이승헌 기자 ditto@donga.com
#박근혜#경호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