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당선인 인수위 추가인선 해 넘기나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12월 31일 03시 00분


코멘트

■ 31일 조직-기구 구성 발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추가 인선이 오리무중이다. 해를 넘길 수도 있다는 말도 나온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최근 ‘밀봉 인선’에 따른 검증 실패로 비판에 직면하면서 장고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다만 박 당선인 측은 31일 인수위의 조직과 기구 구성 내용을 발표하기로 했다. 인수위의 틀을 먼저 제시한 뒤 인선에 필요한 시간을 벌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5년 전 이명박 당선인은 12월 26일, 10년 전 노무현 당선인은 12월 30일 각각 인수위를 출범시켰다.

○ “인수위 인선 해 넘길 수도”

박 당선인의 윤창중 수석대변인은 30일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 “31일 오후 2시 인수위 조직 및 기구 구성 등에 관한 입장을 밝히겠다”고 알렸다. 인수위 조직은 △기획조정 △정무 △외교통일안보 △행정 △경제1 △경제2 △사회교육문화 등 5년 전의 7개 분과 체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경제1·2분과 대신 경제민주화 담당 분과가 신설될 가능성이 있다.

구성 인원은 박 당선인이 ‘차분하고 조용한 인수위’를 강조한 만큼 100∼150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노무현, 이명박 당선인의 인수위 규모는 각각 246명, 183명이었다. 각 부처에서 인수위로 파견할 공무원들의 추천 명단은 이미 박 당선인 측에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인선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의 핵심 관계자는 “아직 인수위 추가 인선 발표가 예고된 게 없다”며 “인수위원 인선이 해를 넘길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런 ‘인선 지체’는 인선 과정 전체를 박 당선인이 틀어쥐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몇몇 인사에 대한 검증 실패가 도마에 올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윤창중 수석대변인과 김경재 국민대통합위 수석부위원장은 과거 극단적 언사가, 청년특위 위원인 윤상규 네오위즈게임즈 대표와 하지원 에코맘코리아 대표는 각각 하도급 대금 지연 문제와 선거법 위반으로 구설에 올랐다. 민주통합당은 이들을 ‘밀봉 4인방’이라며 즉시 교체를 요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박 당선인이 인수위원 인선을 대체로 끝마치고도 원점에서 문제가 없는지 되짚어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박선규 대변인이 “인사 검증에 관해 현 상태에서 청와대 검증팀과 협조를 하고 있다”며 “청와대가 주목할 만한 분의 인사 파일을 대체로 갖고 있고 필요할 때는 (검증) 시작단계부터 협조가 된다”고 밝힌 것도 이런 맥락으로 보인다. 청와대에는 분야별 인사 1만여 명에 대한 검증 파일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정책에서 정치 분리”가 ‘朴 스타일’

자신과의 인연보다는 전문성을 중시하는 박 당선인의 ‘인선 스타일’ 때문에 인선이 늦어진다는 분석도 있다. 정치권과 거리가 먼 인사들을 찾다 보니 검증과 설득 과정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얘기다.

박 당선인의 ‘비정치권 인사 중시 경향’은 과거 인선에서 나타난 특징 가운데 하나다. 박 당선인은 지난해 말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릴 때 김종인 전 대통령경제수석비서관과 이상돈 중앙대 법대 교수 등 당외 인사들을 전면에 내세워 당 쇄신 작업에 나섰다. 대선 과정에서도 선거캠프의 핵심이라고 할 국민행복추진위 산하에 19개 추진단을 만들면서 12개 추진단을 외부 전문가에게 맡겼다. 국회의원이 단장을 맡은 곳은 7개에 그쳤다.

박 당선인의 핵심 측근은 “박 당선인은 친박 의원들에게 아무런 빚이 없다고 생각한다”며 “정치인은 표를 좇기 때문에 정치가 정책을 침범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도 강하다”고 말했다. 15년간 국회의원을 지낸 박 당선인이 이명박 대통령처럼 ‘여의도 정치’를 멀리하지는 않지만 비정치인을 선호한다는 점에서는 인선 스타일이 비슷하다는 얘기다.

이재명 기자 egij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