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튼 뒤 정치]박근혜의 ‘육영수 닮은꼴’ 행보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8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박정희 딸’보다 ‘육영수 딸’ 이미지 부각?

위 사진은 고 육영수 여사가 주변에 알리지 않고 판자촌을 방문해 생필품을 전달하고 나오는 모습. 아래 사진은 지난달 31일 우면산 산사태 피해 지역인 서울 서초구 남태령 전원마을을 찾아 피해상황을 둘러보고 있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사진출처 ‘나의 어머니 육영수’·한나라당 이정현 의원실 제공
위 사진은 고 육영수 여사가 주변에 알리지 않고 판자촌을 방문해 생필품을 전달하고 나오는 모습. 아래 사진은 지난달 31일 우면산 산사태 피해 지역인 서울 서초구 남태령 전원마을을 찾아 피해상황을 둘러보고 있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사진출처 ‘나의 어머니 육영수’·한나라당 이정현 의원실 제공
“어머니가 기뻐하는 일들만 하고 살면 이 세상을 잘못 살지 않으리라는 믿음은 어머니가 제게 남긴 가장 큰 유산입니다.”(‘나의 어머니 육영수’ 42쪽)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2000년 쓴 이 책의 곳곳엔 어머니에 대한 존경심과 애틋한 감정이 절절히 녹아 있다. 15일은 육영수 여사 서거 37주년이 되는 날이다.

15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거행되는 육 여사의 제37주기 추도식에는 대선을 1년 앞두고 어느 때보다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보인다. 한 친박(친박근혜)계 의원은 추도식에 참석하기 위해 해외 일정을 앞당겨 15일 새벽 귀국한다.

최근 박 전 대표 주변에서는 내년 대선 때 호불호가 분명히 나뉘는 박정희 전 대통령보다 육 여사를 부각하는 게 낫다는 의견도 많이 나온다. 육 여사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인 권양숙 여사가 가장 좋아하는 영부인으로 꼽았을 만큼 상대적으로 이념이나 정파에 무관하게 국민의 호감을 얻고 있다는 점에서다.

한 친박계 인사는 14일 “박 전 대표와 육 여사는 외모나 이미지뿐 아니라 실제 생활습관 등에서도 닮은 부분이 참 많다”고 했다. 그는 “박 전 대표는 가끔 어머니를 회상하며 수해현장을 다녀온 아버지(박 전 대통령)가 마음이 아파 밥을 드시지 못하면 자식들도 (국가의 고통을 같이 느끼도록) 밥을 못 먹게 했다고 전했다”면서 “박 전 대표가 국가를 먼저 생각하는 인생을 살게 된 것이 어머니의 가장 큰 영향이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나의 어머니 육영수’에 따르면 육 여사는 가족 앞에서도 맨발을 보이는 일이 없도록 반드시 버선을 신었다. 이런 육 여사의 단정함과 검소함이 박 전 대표를 꼿꼿한 자세와 단아한 옷차림의 대명사로 키웠다는 게 주변의 해석이다.

박 전 대표의 행보에서도 육 여사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육 여사는 아기를 낳은 아낙네가 양식 한 톨 없이 굶주리고 있다는 내용의 신문을 보고 판자촌을 몰래 방문해 쌀과 미역을 전달하거나 경기도의 나환자촌을 몰래 찾기도 했다. 박 전 대표가 지난달 31일 수해현장인 서울 남태령 전원마을을 조용히 다녀온 것도 육 여사에게서 자연스럽게 이어받은 행동 스타일로 볼 수 있다.

박 전 대표는 대통령특사로 유럽을 방문했을 때 방문국 국빈이나 재외동포들이 부탁한 내용에 대해 지금까지도 그 진행상황을 꼼꼼히 체크하고 있다고 한다. 이 역시 매년 5000건의 민원에 대해 일일이 답신하고 그 진행상황을 챙겨온 육 여사를 본받은 것이라는 게 주변 인사들의 설명이다. 이 밖에 위기상황일수록 침착해지는 모습 등도 어머니와 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청와대 입성 이전에 수돗물이 나오지 않는 동숭동 단칸방에서 생활하는 등 찢어지게 가난한 시절을 보낸 육 여사와 달리 박 전 대표는 비교적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생활을 해 온 점이 다르다. 또 육 여사가 대통령을 내조하는 퍼스트레이디 역할에만 충실했던 것과 달리 내년 대통령선거에 직접 도전하려는 박 전 대표에겐 고도의 정치력이 요구된다.

육 여사의 고향은 충북 옥천이다. 충청지역은 대표적인 ‘스윙 스테이트’(부동층 성향이 강한 주)로 총선 및 대선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하다. 어머니의 말투에 영향을 받은 박 전 대표는 요즘도 무의식중에 간혹 충청도 사투리를 쓴다고 한다. 친박계의 한 관계자는 “‘육영수’ 이름은 앞으로 정치권에서 지금보다 더 자주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정민 기자 ditt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