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장 의미와 선례

  • 입력 2009년 5월 25일 03시 05분


‘전직’ 예우 갖추고 ‘국민화합의 場’으로 승화

국민장은 말 그대로 전 국민의 이름으로 추모와 애도의 심정을 담아 거행하는 장례의식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례를 국민장으로 치르기로 결정한 것은 전직 대통령 예우에 맞게 장례를 치러야 한다는 정부의 뜻과 여론을 유족 측이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에 어긋남이 없도록 정중하게 모시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노 전 대통령이 서거한 23일 관계장관회의에서 장례 형식을 국민장으로 잠정 결정하고 유족 측을 간곡하게 설득했다.

노 전 대통령 측에선 당초 장례를 조용히 치르라는 노 전 대통령의 유지를 이유로 가족장으로 치르자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전직 대통령에 대한 적절한 예우를 갖추고 더 많은 국민이 참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국민장이 적절하다고 최종 결론을 내렸다. 전직 대통령의 장례가 국민화합의 계기가 돼야 한다는 명분도 가족장보다 국민장을 선택하게 된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노 전 대통령은 생전에 지역주의 극복과 국민 통합을 자주 강조했다.

국민장은 정부 수립 이후 모두 12차례 치러졌다. 최초의 국민장은 1949년 7월 5일 거행된 백범 김구 선생의 장례였다. 그 후 이시영 전 부통령(1953년), 김성수 전 부통령(1955년), 신익희 전 국회의장(1956년), 조병옥 전 민주당 대통령후보(1960년), 함태영 전 부통령(1964년), 장면 전 총리(1966년), 장택상 전 총리(1969년), 이범석 전 총리(1972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부인 육영수 여사(1974년)의 장례식이 국민장으로 엄수됐다.

1983년 10월에는 동남아시아 순방에 나선 전두환 전 대통령을 수행하던 중 미얀마 양곤국립묘지에서 북한의 폭탄테러로 순직한 서석준 전 부총리 등 17명의 합동 장례식도 국민장으로 치러졌다.

전직 대통령의 경우 2006년 10월 서거한 최규하 전 대통령의 장례식이 유일한 국민장 사례다. 5일장으로 치러진 최 전 대통령의 국민장에는 한명숙 당시 총리가 장의위원장을, 이용섭 행정자치부 장관이 집행위원장을 맡았다. 장의위원회는 국회부의장과 선임 대법관, 감사원장, 부총리 등 부위원장 8명과 고문 55명, 장의위원 616명 등 모두 680명으로 구성됐다. 장의비용 3억3700만 원은 전액 국비로 지원됐다.

이승만, 윤보선 전 대통령의 장례는 본인과 유족의 뜻에 따라 가족장으로 치러졌다.

김기현 기자 kimkih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