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행자부-지자체 영상회의시스템 ‘낮잠’

  • 입력 2006년 5월 10일 07시 22분


코멘트
정부 지시로 2년 전 전국 16개 시·도가 거액을 들여 구축한 ‘중앙-시도 간 영상회의 시스템’이 정부의 의지 미흡 등으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경남도는 2004년 4월 도청 2층 행정부지사실 옆에 ‘영상회의장’을 만들고 6000여 만 원을 들여 대형 모니터 2대와 고정카메라, VTR 등을 설치했다.

다른 시·도도 역시 별도 회의실을 만들거나 겸용 공간에 설비를 갖췄다. 영상회의 시스템 설치에 들어간 전체 예산은 25억 여 원으로 알려졌다.

같은 해 11월 22일 당시 허성관(許成寬) 행정자치부 장관은 정부중앙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영상대화 시스템 시연회를 개최했다. 행자부 본부와 소속 기관의 간부는 물론 시·도와 연결된 회의시스템의 개통식이었다.

허 장관은 시연회 도중 부산, 광주, 제주 등의 부시장이나 부지사와 온라인 영상회의를 주재하고 전자결재도 담당과장을 호출해 영상대화를 하면서 처리했다. ‘정부기관 최초의 영상대화를 통한 전자결재’라는 자랑도 곁들여졌다.

행자부는 “영상회의 시스템이 가동되면 회의 참석을 위한 장거리 출장이 크게 줄어들 것”이고 말했다. 문서와 대면(對面) 위주의 업무가 지식, 정보화시대에 걸 맞는 행태로의 변화한다는 것.

그러나 이후 행자부는 각 시·도 부단체장은 물론 공무원을 상대로 영상회의를 거의 열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지방 공무원들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출장을 가는 관행은 여전하다.

8일 오후에도 행자부 장관은 시·도 부단체장을 불러 지방선거 관련 회의를 열었다.

영상회의 시스템은 지난해 말까지 모두 24차례 이용됐다.

올해 들어서는 시·도 정보통신담당관실 직원을 대상으로 ‘유비쿼터스 정부와 공직자 역할’ 등 두 차례 특강을 한 것이 고작이었다. 다른 부서에서는 활용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

경남도 행정부지사가 지난해 중앙부처에 출장 간 18회 가운데 시상식과 인사회를 뺀 10회 정도는 영상회의로 처리할 수도 있는 안건을 다뤘다. 행자부 자체 분석 결과 지난해 행자부와 시·도 간 대면회의 가운데 20건이 영상회의로 처리 가능했다.

경남도 관계자는 “지방에서 행자부에 회의를 요구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영상 시스템을 놀려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행자부 관계자는 “영상 시스템의 활용을 위해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을 ‘영상회의의 날’로 지정하고 영상회의 횟수를 늘려 행정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