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용은 용기로, 신중은 비겁으로… 역병이 부른 ‘가치의 전복’[조대호 신화의 땅에서 만난 그리스 사상]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8월 24일 23시 33분


코멘트
영국의 정치철학자 토머스 홉스가 번역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사진 출처 이베이
영국의 정치철학자 토머스 홉스가 번역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사진 출처 이베이


조대호 연세대 철학과 교수
조대호 연세대 철학과 교수
투키디데스는 전쟁과 내분 속 인간의 모습을 가감 없이 그려냈다. ‘인간의 본성’에 따라 반복될 일들을 일깨우는 것이 그의 저술 목적이었다. 이 기록은 인간 본성의 선악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을 사로잡았는데, 국가계약론의 옹호자 토머스 홉스(1588∼1679)도 그중 하나였다. 그에게 인간의 자연상태는 “외롭고 가난하며 험악하고 잔인하다”. “짧은 인생”은 “지속적인 공포와 폭력에 의한 죽음”에 맡겨져 있다. 홉스에게 인간의 존재에 대한 이런 상상을 불어넣은 것도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였다. 그는 마흔한 살에 이 역사서를 번역했다.》





역병 앓고 ‘보고서’ 남긴 투키디데스


펠레폰네소스 전쟁 당시 아테나이인들은 적의 공격을 막기 위해 도시부터 가장 가까운 항구까지 긴 장벽을 쌓았다. 하지만 이 때문에 인구가 밀집되면서 역병이 창궐하게 된다.
펠레폰네소스 전쟁 당시 아테나이인들은 적의 공격을 막기 위해 도시부터 가장 가까운 항구까지 긴 장벽을 쌓았다. 하지만 이 때문에 인구가 밀집되면서 역병이 창궐하게 된다.
투키디데스는 전쟁 중 인간의 상황을 여러 각도에서 자세히 그려냈는데, 그중에는 역병과 그 결과에 대한 기록도 있다. 전쟁이 시작되고 이듬해 여름 역병이 찾아왔다. 역병은 먼 곳에서 왔지만 아테나이인들의 전쟁 전략이 피해를 키웠다. 그들은 긴 성벽을 쌓고 그 안으로 시민들을 대피시키는 전략을 세웠다. 장벽 끝의 항구를 통해 물자를 공급하면 승리할 수 있으리라 확신했던 것이다. 이 전략이 역병의 창궐을 낳으리라고 누가 예상했을까? 성벽 안에 사람들이 몰려들어 환경이 열악해지자 역병이 들불처럼 번졌다. 직접 역병을 앓았던 투키디데스는 병의 증세와 결과를 자세히 기록했다. 그것은 ‘역병에 대한 의학적 보고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역병은 머리 꼭대기에서 시작해 온몸을 타고 아래로 내려갔다. 첫 증상은 고열과 눈의 충혈이었다. 목구멍과 혀에서 피가 났고 호흡 곤란과 악취가 이어졌다. 가슴 통증과 기침, 복통도 따랐다. 피부도 성하지 않았다. 피멍과 농포와 종기가 몸을 덮었고, 사람들은 고열을 못 견뎌 물속으로 뛰어들었다.

역병은 사람들을 물에 뛰어들게 했을 뿐 아니라 절망으로 몰아넣었다. “체질이 강하든 약하든 일단 이 병에 걸리면 차이가 없었으니, 이 병은 평소 건강 관리에 관계없이 사람을 무차별적으로 낚아채 갔다. 역병의 가장 무서운 점은 병에 감염되었다는 것을 알면 절망감에 사로잡히는 것과 사람들이 서로 간호하다 교차 감염되어 양떼처럼 죽어가는 것이었다.”(천병희 옮김) 짐승들조차 방치된 시신에 다가가지 않았고 온 나라는 무법천지가 되었다. “신들에 대한 두려움도 인간의 법도 구속력이 없었다.”

역병의 정체는 지금도 논란거리다. 천연두, 발진티푸스 등의 증상에 가깝다. 하지만 무슨 역병이었는지 몰라도 우리는 그 끔찍한 상황에 쉽게 공감한다. 지난 3년 동안 코로나를 겪었고 지금도 벗어나지 못한 탓이다. 백신이나 의학적 처방이 없다면 우리의 지금 상황은 어떨까?

내전과 역병에 무너진 가치와 도덕


플랑드르의 화가 미힐 스베이르츠(1618∼1664)의 작품 ‘고대 도시의 역병’. 아테나이의 역사학자 투키디데스는 그의 저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서 전쟁 발발 이듬해 아테나이를 덮친 역병을 생생히 기록했다. 천연두 혹은 발진티푸스로 추정되는 이 
역병으로 당시 아테나이 인구의 3분의 1이 희생됐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플랑드르의 화가 미힐 스베이르츠(1618∼1664)의 작품 ‘고대 도시의 역병’. 아테나이의 역사학자 투키디데스는 그의 저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서 전쟁 발발 이듬해 아테나이를 덮친 역병을 생생히 기록했다. 천연두 혹은 발진티푸스로 추정되는 이 역병으로 당시 아테나이 인구의 3분의 1이 희생됐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하지만 투키디데스의 관심은 단순히 역병의 의학적·심리적 결과를 추적하는 데 그치지 않았다. 그는 내전과 역병의 이중고가 낳은 사회 병리 현상을 서술하는 데 더 큰 관심을 두었다. 이 현상의 핵심은 ‘가치 전복’이었다. “내전은 행동을 가리키는 낱말들의 일상적인 의미를 정당화의 수단으로 바꿔 놓았다. 비이성적인 만용은 애국적 용기로 간주되고, 앞일을 생각하는 신중함은 기회주의자의 비겁으로 여겨진다. 절제는 사내답지 못함을 숨기는 속임수로 간주되고 만사를 대비하는 사려분별은 모든 일에 대한 태만으로 치부된다. 광기 어린 돌발 행동은 사내다운 태도로 간주되고 안전을 위한 심사숙고는 빠져나가기 위한 그럴듯한 핑계로 생각된다.”

전래의 가치와 도덕이 무너졌다. 도덕은 자기변명과 타인 공격의 수단으로 전락했다. 이렇게 바꾸면 더 실감이 날지 모르겠다. 비리를 고발하는 용기는 ‘조직에 대한 배신’으로, 정의로운 행동은 ‘어리석음’으로, 성실함은 ‘꽉 막힌 태도’로 낙인찍힌다. 2400년 전 상황에 우리가 공감할 수 있다면, 그 까닭은 ‘인간의 본성’이 같고 지금의 현실이 ‘전쟁 같은 경쟁’이기 때문이 아닐까?

투키디데스의 기록은 ‘리얼’하다. 이 ‘리얼리티’가 서양 사상가들을 사로잡았다. 그들은 거기서 위선과 허위의 가면이 벗겨진 인간의 맨얼굴, 도덕의 굴레를 내던진 인간의 본모습을 보았다. 문명 세계를 벗어난 정글 속 인간의 모습이랄까. 하지만 더 따져보자. 홉스 등이 상상한 대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 그려진 인간의 모습이 진짜 인간 본성의 본모습일까?

분명 그것을 두고 인간의 모습이 아니라고는 말할 수 없다. 하지만 그것은 인간에 대한 절반의 진실일 뿐이다. ‘전쟁 속’ 인간의 모습일 뿐이니까. 그것만이 인간 본성의 전부라고 단정할 근거는 없다. 물론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전쟁이 인간의 본래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평화 역시 인간의 본래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렇다면 인간 본성의 진짜 모습은? 진실은 그 중간, 즉 전쟁과 평화에서 달리 나타나는 인간의 양면성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도덕의식은 악을 응시할 때 생긴다

인간은 본성적으로 야누스적이다. 이 점에서 동물들과 다르다. 동물들은 도덕을 세우지도, 그것을 뒤엎지도 못한다. 오직 인간만이 본성의 양면성 탓에 신적인 상승과 악마적 추락을 거듭한다. 타고난 본성이니 바꿀 수도 없다. 바꿀 수 있는 것은 그 본성의 실현 조건뿐이다. 하지만 아무리 경계해도, 경계가 느슨해지는 순간 인간은 악마적 존재로 추락한다. 투키디데스는 전쟁, 내분, 역병의 상황에서 드러난 인간의 양면적 본성을 기술했지만 인간 본성의 악마적 일면이 웃는 얼굴로 활보하는 것이 어디 그때뿐일까? ‘평화’ 속에서도, 금지된 쾌락에 대한 상상과 일탈의 욕망이 날개를 달고 솟구치는 21세기 ‘유튜브 시대’에도 도덕의 고삐가 풀린다. 이런 시기는 언제나 ‘전쟁, 내분, 역병’의 상황이다.

누군가는 반문할 것이다. 도대체 어떤 ‘도덕’을 따르라는 말인가? ‘도덕’은 시대와 사회마다 다르지 않나? ‘도덕’이나 ‘교화’의 이름으로 행사된 폭력의 사례들이 역사에 가득하다! 맞다. ‘도덕의 고삐’보다 ‘고삐 풀린 자유’가 더 낫다는 주장이 호소력을 갖는 것도 그 때문이다. 하지만 바로 그 지점에서 투키디데스 읽기가 필요해진다. 어떻게 투키디데스가 그린 인간의 지옥으로 추락하지 않을 수 있을까? 바로 이 물음이 ‘도덕’에 대한 모든 논의의 출발점이 될 테니까. 소크라테스가 던진 질문들의 핵심도 그것이다. 그가 투키디데스의 동시대인이라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도덕의식은 악의 응시에서 생긴다. 이 응시에는 인간의 악에 내몰린 다른 본성(선한 본성)에 호소하는 힘이 있다. 이렇게 뒤집어 말할 수도 있겠다. 세상의 악을 외면하는 ‘긍정주의자’의 시선, 이것이 악의 뿌리일 수 있다. 그런 시선은 불행을 견디는 치료제일 수 있지만 이 치료제의 과다 사용은 더 큰 불행과 파탄을 부르기 때문이다. 세상에는 분명 긍정할 것과 부정할 것이 함께 있다.



조대호 연세대 철학과 교수


#투키디데스는 전쟁#역병#가치의 전복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