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에서 ‘감정 시대’로… 내적 고통 승화한 헬레니즘 예술[미술을 읽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8월 14일 23시 33분


코멘트
김혜진 한국외국어대 그리스·불가리아학과 교수
김혜진 한국외국어대 그리스·불가리아학과 교수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예술품은 지난 2000년간 수집가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가장 먼저 수집에 열을 올렸던 이들은 그리스를 점령한 로마의 장군이나 그리스 문화를 향유한 로마의 황제와 귀족들이었다. 이탈리아에서는 대리석의 채석이 기원후에나 이루어지면서, 그리스에서 난 희고 반투명에 가까운 양질의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그리스의 조각상은 로마인들의 전리품으로 인기가 높았다. 기원전 86년에 아테네를 약탈한 로마의 장수 술라는 조각상, 신전의 기둥, 무덤 비석 등을 배에 실어서 로마로 가져갔다. 무리하게 배로 전리품을 옮겨 담다가 그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피레우스 항구에 배가 침몰하는 일도 있었다. 선적이 잘되더라도 항해 중에 풍랑을 만나거나 암초에 좌초되어 배가 침몰하는 일도 잦았다.

우여곡절 끝에 로마에 도달한 그리스의 예술품은 로마의 황제와 귀족이 수집해 그들의 저택을 꾸미는 데 사용되었다. 로마인들이 그리스의 예술품만 수집한 것은 아니었다. 로마인들은 소아시아와 이집트, 지중해 전역을 장악하면서 이국적인 물건이나 지역의 특산물을 수집하기도 했다. 지중해의 특정 지역을 대표하는 물건들을 집에 둠으로써 방문객에게 자신의 경제력을 드러내고 사회·정치적 권력을 과시할 수 있었다.

그리스에서 가져오는 예술품이 부족한 경우에는 시장의 수요에 맞춰 복제가 이루어졌다. 복제를 담당한 이들은 대리석을 잘 다루는 그리스 출신의 조각가들이었다. 대형 청동 원본은 비슷한 크기의 대리석상으로 복제되기도 했고, 크기와 재료를 바꾸어 토우나 벽화, 모자이크 등에 재해석되기도 했다. 복제라고는 하지만, 조각가의 실력과 안목에 따라 결과물의 예술적 완성도는 천차만별이었다. 이렇게 그리스를 떠나서 로마에 도착한 원본 청동 조각상은 녹여서 재사용되어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다. 폴리클레이토스의 ‘창을 든 남성’이나 미론의 ‘원반 던지는 사람’과 같은 작품은 복제본들만이 전 세계 박물관 곳곳에 전시되고 있다. 이러한 연유에서 박물관 그리스 조각상의 안내문에서 ‘로마 복제본(Roman Copy)’이라는 문구를 어렵지 않게 만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스와 로마의 예술품에 대한 수집의 열기는 지난 2000년간 지속되었다. 이번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나는 예술품들은 합스부르크 왕가의 소장품에서 비롯된 빈미술사박물관 소장 그리스 로마 컬렉션에서 온 것이다. 총 130여 점에 이르는 귀한 그리스와 로마의 예술품을 가까이에서 4년간 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매우 감동적이다. 그만큼 우리의 문화적 국격이 높아지고 국립중앙박물관의 위상의 높아진 덕분이다. 이번 전시에는 그리스 로마의 신들과 황제들이 재현된 공적 목적의 조각상과, 죽음에 대한 애도가 담긴 무덤 조형물, 제사나 향연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거나 무덤 부장품으로 사용된 도기들, 등잔들과 유리 공예품에 이르기까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예술과 시각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작품이 포함된다.

헬레니즘 시대 걸작 ‘라오콘 군상’을 복제한 두상(왼쪽 사진). 두 아들의 죽음을 눈앞에 둔 아버지 라오콘의 슬픔, 고통이 절제된
 표정 속에 생생히 담겼다. ‘팍스로마나’의 마지막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초상에서는 황제가 아닌 인간으로서의 외로움과 
처연함이 느껴진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헬레니즘 시대 걸작 ‘라오콘 군상’을 복제한 두상(왼쪽 사진). 두 아들의 죽음을 눈앞에 둔 아버지 라오콘의 슬픔, 고통이 절제된 표정 속에 생생히 담겼다. ‘팍스로마나’의 마지막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초상에서는 황제가 아닌 인간으로서의 외로움과 처연함이 느껴진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그중에서 라오콘의 두상은 눈길을 사로잡는다. ‘라오콘 군상’은 그리스 헬레니즘 시기 미술의 특징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전시에서 만나는 라오콘 두상은 16세기 초 로마에서 출토된 작품의 복제본이다. 라오콘은 신들이 정한 운명 앞에서 두 아들의 죽음으로 고통스러워한다. 깊은 눈과 주름, 일그러진 표정과 벌어진 입술 사이로 고통스러운 순간의 고뇌와 격정적인 감정이 표현된다. 헬레니즘 시기에 앞서서 고전기의 그리스 미술은 감정을 절제한 이성적인 인간의 몸과 표정의 표현에 집중하였다. 하지만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아시아와 이집트를 점령하고, 그리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세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개개인의 역량은 더 중요해졌다. 이러한 배경에서 헬레니즘 시기의 예술가들은 개인의 내면과 감정을 극적으로 드러내는 데에 열중하였다.

‘명상록’의 저자이자 평화의 시대로 일컫는 ‘팍스로마나’ 시대의 마지막 황제로 알려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재위 161∼180년)의 초상도 발길을 멈추게 한다. 초연하게 허공을 응시하는 눈동자에서 철학자로서의 깊은 사색의 눈빛과 동시에 광활한 제국의 통치자가 느끼는 책임과 피로감이 함께 느껴진다. 황제의 자리를 그의 아들 콤모두스(재위 177∼192년)에게 넘겼지만, 그는 아버지와 달리 과대망상적 증상과 독재적 행위로 인하여 암살되고 사후에도 그에 관한 기억을 삭제하는 ‘기록말살형(Damnatio memoriae)’에 처해진다. 콤모두스의 비극은 아우렐리우스 사후에 벌어진 일이지만, 아우렐리우스의 초상은 미덥지 못한 아들의 운명을 마음 한쪽에 예견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직접 북방 이민족을 정벌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장수로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겼는데, 초상 조각에서 보이는 처연한 눈빛은 강력한 황제의 위상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전시장에서 볼 수 있는 군인 황제의 초상에서 보이는 강인한 인상과는 대조적이다. 오히려 세상을 호령하고 최고의 명성을 얻은 황제라도 인간으로서 느끼는 한계와 외로움이 공감된다.

아테네의 화가이자 도공이었던 소타데스의 작품. 페르시아의 전통적인 각배(짐승의 뿔로 만든 술잔)에 동물 형상과 신화를 그려 넣어 그리스식으로 각색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아테네의 화가이자 도공이었던 소타데스의 작품. 페르시아의 전통적인 각배(짐승의 뿔로 만든 술잔)에 동물 형상과 신화를 그려 넣어 그리스식으로 각색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기존 국내에서 열린 그리스 로마 전시에서 그리스의 도기화가 많이 소개된 바 있다. 이번에는 아테네의 화가이자 도공이었던 소타데스의 작품이 눈에 띈다. 소타데스는 페르시아 전쟁이 끝난 뒤인 기원전 5세기 중반에 활동하면서, 자신의 이름을 작품에 남겨놓은 몇 안 되는 예술가이기도 하다. 그는 페르시아의 전통적인 각배(rhyton)에 뿔 형상을 대신해 사람의 얼굴이나 개, 염소 등 동물 머리의 형상을 만들어 넣고 그리스 신화 등의 주제로 그림을 그려 그리스식으로 각색하였다. 그의 창의적인 작품은 아테네뿐만 아니라 이집트와 페르시아 등지에서도 인기를 끌었다. 토속적 요소와 이국적 요소를 적절히 살려 해외 진출에 성공한 사례라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등잔 여러 개가 이번 전시에 포함되어 있는데, 고대인들의 일상에서 친근하게 접하였던 신화적 장면에서부터 에로스적인 순간까지 그들의 삶을 가까이에서 보여준다. 이번 전시를 통해서 많은 관람객이 지난 2000년간 서구인들의 상상력과 예술적 감성을 자극하고 엘리트들의 소유욕을 불러일으켰던 고전 미술을 직접 확인하시길 바란다.


김혜진 한국외국어대 그리스·불가리아학과 교수


#감성 시대#헬레니즘#예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