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가 새 학년으로 올라가는 두려움을 털어놓았다. 코로나로 몇 번 등교하지 못한 데다 나름 친구들을 사귀며 적응하려고 애썼는데, 다시 새로운 반으로 바뀐다고 하니 걱정이 되는 것 같았다. “엄마, 친구를 잘 사귀지 못하면 어떻게 하지?” 고민하다가 이렇게 대답했다. “엄마도 너랑 똑같은 걱정을 했었어. 그런데 친구를 잘 사귀는 것도 꼭 잘해야 하는 것은 아니야. 연습하는 시간이 있어도 괜찮아.”
아이에게 해준 말은, 어린 시절 나에게 가장 필요했던 말이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잘하지 못하면 어쩌지? 실패하면 어쩌지?’라는 불안은 늘 마음을 압도한다. 내 두려움이 타당하다고, 처음부터 잘하는 것이 아니라 배우고 연습하는 시간이 충분히 필요한 거라고. 그런 말을 누군가 해주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시간은 봄을 향하지만 여전히 공기가 차갑다. 내가 듣고 싶은 말을 타인에게 건네고, 나 자신에게도 같은 이야기를 들려주는 ‘마음의 돌봄’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기다.
이다랑 그로잉맘 대표
文의 ‘검찰 황태자’ 이성윤, 기소 넘어 차기 檢총장 꿈 이룰까
[김순덕 칼럼]인권침해 낙인찍힌 ‘문재인 보유국’
檢, ‘김학의 출금’ 이광철 출석통보…윗선 수사 확대
[단독]삼성家 ‘이건희 컬렉션’ 사회 환원 가닥… “기증규모 1조 이상”
“Thank you” 질문에 답변은? “…” 원격수업에 무너진 학력
[오늘과 내일/박용]정권 말 한국 vs 집권 초 미국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