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평인 칼럼]논설위원이 수능 문제 풀어보니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1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송평인 논설위원
송평인 논설위원
고3 문과생으로 돌아간 기분으로 지난주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국어 영어 한국사 문제를 풀어봤다. 이들 과목에 대한 지식은 기자 직업을 수행하는 데도 어느 정도 필요하다. 다만 32년 전과는 달리 이번에는 내 직업 경험으로 봤을 때 수능이 측정하는 지식이 적절한가라는 관점에서 풀어봤다.

영어는 45개 문제 중 한 개만 틀려도 1등급을 받지 못할 정도로 출제됐다. 그렇다고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더 어렵게 낼 필요가 있을지는 의문이다. 영어 시험 시간 70분 중 50분은 읽기 평가 28개 문제에 할애된다. 2분도 안 되는 시간에 결코 짧지 않은 1개의 지문을 읽고 답해야 한다. 나 자신도 푸는 데 시간이 빠듯했다. 지문은 아주 까다롭지는 않았지만 그 정도 시간에 그 정도 수준의 지문을 읽고 답할 수 있다면 내 경험상 원서를 읽는 데 무리 없는 실력이라고 할 수 있다.

요즘은 중학생만 돼도 학원에서 가르치는 영어 지문이 만만치 않은 수준이다. 중학생에게 이런 지문이 어려운 것은 영어 실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전문 지식이 없어서다. 영어는 영어를 평가해야지 전문 지식을 평가해서는 안 된다. 영어의 변별력을 더 높이려 한다면 읽기 평가의 수준을 더 높일 것이 아니라 듣기 평가의 수준을 높이거나 쓰기 평가를 새로 도입하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

국어는 어렵게 출제됐다. 1등급의 커트라인이 91점 이하로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내가 풀어본 느낌은 단지 어렵다는 점을 넘어 ‘그 어려움이라는 게 굳이 극복하려고 노력할 가치가 있는 어려움인가’라는 회의가 들었다.

나 역시 기자로서 25년 가까이 글과 씨름해 왔지만 의미 자체가 애매모호한 문제를 여러 개 발견했다. 예를 들어 어떻게 보면 오리이고 또 어떻게 보면 토끼인 그림(오리 토끼)을 제시하고 이 그림을 통해 배운 바를 ‘비유를 활용해 한 단락으로 써보자’는 문제가 있다. 정답에는 비유법이 쓰여져 있다. 그렇다면 ‘비유법을 활용하라’고 써야 한다. 비유를 활용하라고 해서 나는 ‘오리 토끼’라는 비유를 꼭 거론하라는 뜻인가 오해했다. 문제 풀이는 어렵더라도 문제의 뜻은 명확해야 한다.

요즘 국어에는 문학 외에 비문학 문제도 나온다. 기자도 비문학에 해당하는 글은 많이 보고 쓰는 직업이다. 비문학 문제의 지문을 보면 고교 수준에서 이해될 수 있는 지문인지 의문이 든다. 헤겔과 뒤르켐의 시민사회론을 비교하는 지문에 대해 말하자면 헤겔의 시민사회론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뒤르켐은 그 자신이 시민사회란 말을 쓰지 않았고 그의 이론을 시민사회론의 관점에서 보는 것도 생소하다. 칸트의 미감적 판단력을 설명하는 지문은 용어(주관적 보편성 등) 자체가 독일 관념 철학에 특수한 것이어서 비전공자는 이해할 수 없는 글이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정도는 몰라도 실천이성비판이나 판단력비판의 문제를 고3 수준에서 다루는 것은 무리다.

한국사는 20개 문제 중 14개가 근현대사, 그것도 개화 이후의 역사에서 출제됐다. 한국사 교과서 체제가 그렇다고 하지만 직업상 다른 직업보다는 근현대사를 더 많이 다루는 기자의 관점에서 봐도 근현대사의 비중은 지나치다.

근현대사 문제 중에서는 강한 경향성이 느껴지는 것도 적지 않았다. 신탁통치란 말은 한마디도 없이 미소공동위원회 개최로 임시정부 수립 전망이 밝았던 것처럼 묘사하고 그것이 반탁 운동 때문에 중단됐다는 암시를 준 문제와 김원봉의 레닌주의적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1930년대 혁명적 노동조합운동을 중점적으로 다룬 문제 등이 그렇다. 한국사 교과서의 근현대사 비중 문제와 경향성이 수능에도 고스란히 투영돼 있다는 느낌이다.

송평인 논설위원 pisong@donga.com
#수능#문제풀이#난이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