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공산혁명 기도’에 대한 용감한 증언, 역사에 담아야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5월 26일 03시 00분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는 1960년대부터 국내 좌익운동의 이론가로 활동하다가 1980년대 중반 공산주의의 허상을 깨닫고 1995년 전향했다. 한때 ‘학생운동의 대부(代父)’로 불렸던 그가 1960, 70년대 주요 시국사건으로 꼽히는 1차 인민혁명당(인혁당) 사건, 통일혁명당(통혁당) 사건,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남민전) 사건에 대해 말문을 열었다. 안 교수는 오늘 출간되는 책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과 미래’에 직·간접으로 겪었던 사건들에 관한 생생한 육성(肉聲)을 남겼다.

우리 사회 일각에 인혁당, 통혁당, 남민전 사건은 권위주의 정부가 반공주의를 앞세워 조작한 사건인 것처럼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1979년 발각된 남민전 사건 관련자 29명은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받았다. 이들의 활동이 유신체제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항거한 행위였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안 교수는 이들 사건이 정부에 의한 용공조작 사건이 아니라 실체가 있는 공산혁명 기도였다고 증언했다. 물론 수사 과정에서 때로는 폭력이나 고문이 있었지만 실체가 없는 사건을 날조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1962년 서울대 대학원생이던 안 교수는 빨치산 출신이자 인혁당 가담자인 박현채를 만나 공산주의 교육을 받았다고 밝혔다. 1964년 전모가 드러난 인혁당은 남한에서 자발적으로 생긴 공산혁명을 위한 조직이었다는 게 안 교수의 고백이다. 1968년 발각된 통혁당에 대해서는 “북한의 지령에 따라 결성된 혁명조직이었다”고 그는 밝혔다. 통혁당의 서열 2위 김질락은 서울대 상대생이던 신영복(현 성공회대 석좌교수)을 지도했으며 신영복은 역시 서울대 상대생이던 박성준(전 성공회대 겸임교수)을 지도했다고 한다. 남민전 사건 관련자들은 북한과 연합전선을 구축하려 했고 무장게릴라 활동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강도 행각을 벌이고 총기를 보관한 적도 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제2조는 민주화운동에 대해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권위주의적 통치에 항거해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회복 신장시킨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들 사건이 안 교수의 증언대로 대한민국 체제를 전복해 공산체제를 수립하려는 기도였다면 ‘민주화운동’과는 거리가 한참 멀다. 지난 정권이 옥석을 가리지 않고 ‘민주화 훈장’을 준 것은 민주화운동의 순수성을 짓밟은 오류다. 세계의 모든 공산체제는 예외 없이 민주와 인권을 유린하는 무자비한 독재를 했고, 북한은 그중에서도 최악이다.

솔직한 고해(告解)를 하지 않으려면 공산혁명 기도를 민주화운동이라고 미화하는 언설이라도 그만둬야 한다. 안 교수의 용기 있는 증언이 나온 이상 역사의 진실을 더는 왜곡해선 안 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