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인준 칼럼]퇴계·하서·고봉

  • Array
  • 입력 2010년 7월 14일 20시 00분


코멘트
퇴계 이황(退溪 李滉·1501∼1570) 선생을 모시는 도산서원(경북 안동)의 김병일 선비문화수련원 이사장이 최근 ‘상이태수서(上李太守書)’라는 서간문 하나를 나에게 소개했다. 조선 중기 학자인 하서 김인후(河西 金麟厚·1510∼1560) 선생의 글인데, 제목과는 달리 임금의 마음가짐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밝히는 내용이다. 하서는 성균관 문묘에 모셔진 선현 18인 가운데 유일한 호남인이다.

“민심은 복종시키는 것이 아니다”

김 이사장은 올해 하서 탄생 500주년(음력 7월 19일)을 앞두고, 하서를 모시는 필암서원(전남 장성) 유림들과 교류를 하다가 이 글을 접했는데 “시대를 뛰어넘는 내용이라 혼자 보기 아까웠다”며 나에게 보내왔다. 이 글에서 하서는 ‘백성 편에 서서 백성 속으로 들어가 백성의 마음을 헤아리고 붙드는 일’이 위정자의 첫걸음임을 강조했다. 이게 민주(民主)다 싶다.

“예부터 백성의 상(上·왕)은 자신의 위엄보다 먼저 백성이 자기와 친하지 못할까 봐 걱정했습니다. 둘째, 민심을 복종시키는 일보다 자기가 백성에게 극진히 하지 못할까 봐 근심했습니다. 셋째, 민심이 악(惡)으로 흐르는 것을 벌하기보다 본성이 선하다는 믿음을 끝까지 바꾸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내 마음을 미루어 백성의 마음을 감화시키면 감화되지 않는 일이 없으며, 사람의 도리로 사람을 다스리면 다스리지 못할 일이 없습니다.”

이 글에서 하서는 또 “지위를 믿고 홀로 자존하여 아랫사람이 나를 속이지 않을까 지레짐작하며 밝은 체하면 가까운 자는 아첨하고 속이며, 먼 자는 태만하고 의심하는 법입니다. 아첨하고 속이면 그름을 알지 못하고, 태만하고 의심하면 거역하게 되므로 결국 아래에서는 죄를 많이 짓고 위에서는 원망을 깊이 삽니다. 이러므로 자존하면 세(勢)가 날로 외로워지고, 독선하면 악이 날로 쌓이게 마련입니다”라고 썼다.

하서는 성균관 유생이던 24세 때 면벽 사색하던 9세 연장의 ‘늦깎이 유생’ 퇴계를 만나 나이도, 출신지역도 뛰어넘는 숙명적 도반(학문의 동지)이 된다. 퇴계는 나중에 하서보다 더 어리고, 출신지역은 물론이고 사상까지 달랐던 고봉 기대승(高峯 奇大升·1527∼1572) 선생과 경이로운 교류를 한다.

500년 전 퇴계의 고향 안동과 고봉이 태어난 광주(光州)의 지리적 거리는 오늘날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아득했다. 사람의 수명도 지금보다 짧았던 그때의 26세 연령차는 한 세대 이상의 간격이었다. 성리학의 주요개념인 사단칠정(四端七情)에 대한 퇴계와 고봉의 학설은 합치되기 어려웠다.

지역·세대·이념 뛰어넘은 교류

그럼에도 퇴계는 선비의 최고 권위로 명예가 드높았던 성균관 으뜸벼슬 대사성(大司成)의 자리에 있으면서 과거(科擧)에 갓 합격한 청년 고봉에게 참으로 정중 겸손하고 삼가는 글을 보내 학문과 세상을 함께 논하기 시작했다. 퇴계 58세, 고봉 32세 때였다. 그로부터 퇴계가 세상을 뜨던 해까지 13년간 두 사람은 편지를 주고받으며 학문, 정치, 시대, 인간에 대해 뜻을 나누었다. 사단칠정을 둘러싸고 끝내 합일하지 못한 논변을 거듭한 기간만도 무려 8년이었다.

이처럼 논리 싸움이 치열했음에도 이들은 서로에 대한 존경과 신뢰를 결코 잃지 않았다. 퇴계는 임금에게 고봉을 중히 쓰라고 천거했고, 고봉은 임금이 퇴계의 낙향을 만류하지 못해 난감해할 때 “지성을 다해 붙잡으시라”고 청원했다. 퇴계 사후 고봉은 ‘산도 오래되면 무너져 내리고 돌도 삭아 부스러질 수 있지만 선생의 이름은 천지와 더불어 영원하리라는 것을 나는 안다’라고 자신의 문집에 썼다.

둘은 이견(異見)을 밝히되 상대 의견을 존중하는 표현을 쓰고 호칭에서도 예의를 갖추며 품격을 지켰다. 사단칠정 논쟁은 서로의 주장을 조금씩 양보하는 선에서 끝났으나 그 과정의 학문적 성과는 한국 유학의 이론을 풍부하게 했다.

고봉을 모시는 월봉서원(광주 광산구)에서 지난해 봄에 열린 춘향제(春享祭)에는 퇴계의 종손이 초대돼 초헌관(初獻官)으로 맨 먼저 절을 했다. 퇴계 후손들의 모임인 청수회(靑樹會), 고봉 후손들의 모임인 백우회(白牛會), 퇴계 문하의 큰 학자 죽천 박광전(竹川 朴光前·1526∼1597) 선생 후손들의 모임인 청죽회(靑竹會)는 매년 버스 한 대로 왕래하며 모임을 갖고 선비의 도(道)를 되새긴다. 500년의 시간, 영호남의 공간을 뛰어넘는 교류다.

배려와 포용보다 무시와 배척이 판치고, 자신을 낮추고 겸허하기보다 남을 얕보고 오만하기 그지없으며,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은 잊은 듯한 오늘의 정치사회를 보면서 잠시나마 퇴계 하서 고봉 같은 큰선비들을 생각하게 된다.

배인준 주필 injo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