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은 비싸도 원가는 얼마 되지 않는다. 대부분 브랜드 값이다. 자동차 중에서 마진율이 높은 테슬라 전기차가 20% 내외인데 3대 명품 에루샤(에르메스 루이뷔통 샤넬)의 마진율은 60∼70%다. 최근에는 프랑스 브랜드인 디올의 385만 원짜리 가방 원가가 8만 원이라는 사실이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인건비를 후려친 결과다.
▷이탈리아 밀라노 법원은 하청업체의 노동 착취를 방치·조장한 혐의를 받고 있는 디올 이탈리아 지사의 가방 제조업체에 1년간 사법 행정관의 감독을 받으라는 명령을 내렸다. 34쪽짜리 법원 결정문에는 중국인이 운영하는 하청업체 4곳이 최저 위생 기준에도 못 미치는 공장에서 이민자들을 먹이고 재우며 가방을 만든 것으로 나온다. 전기 사용량으로 추정해보니 공장은 24시간 휴일도 없이 풀가동됐고, 작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 기계의 안전장치는 제거된 상태였다. 업체는 가방 한 개에 53유로(약 8만 원)를 받고 디올에 넘겼는데 이 가방의 매장가는 2600유로(약 385만 원)다.
▷이민자를 동원해 노동 법규를 어겨가며 작업하는 방식은 이탈리아 명품업계에선 드문 일이 아니다. 이탈리아는 세계 명품 생산의 50∼55%를 커버하는데 ‘메이드 인 이탈리아’의 상당 부분을 밀라노, 피렌체, 프라토 등에 몰려 사는 중국계 이민자들이 만든다. 값싼 중국 노동력을 이용하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탈리아 브랜드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는 위기감이 높다. 올 4월에는 아르마니 가방 하청업체가 불법 체류 중국인들을 시간당 2∼3유로에 쓰다가 적발됐다. 개당 출고가는 14만 원, 판매가는 267만 원이다.
▷향수도 제조 원가율이 5∼15%로 낮다. 패션 전문회사들이 향수 제작을 병행하는 이유다. 고급 향수일수록 비싼 원료를 쓰지만 워낙 극소량만 들어가기 때문에 고가든 아니든 원가는 거기서 거기다. 최근에는 재스민 원산지인 이집트에서 명품 브랜드용 재스민 수확에 어린이를 동원하는 실태가 영국 BBC 보도로 드러났다. 재스민은 꽃잎이 햇볕에 상하기 전인 새벽에 따야 하는데 이 시간대 아동 노동은 불법이다. 방송에서는 새벽 3시에 일어나 어린 자녀 넷과 재스민꽃 1.5kg을 따 1.5달러를 손에 쥔 어머니 사례가 나온다.
▷원가의 세 배 네 배 가격을 주고 명품을 사는 건 그만큼 무형의 가치를 인정하기 때문이다. ‘가죽 가방’이 아니라 ‘디올 가방’을 사는 것이다. 하지만 일부 업체는 비쌀수록 잘 팔리는 심리를 악용해 실적 개선이 필요할 때마다 질이 아닌 가격을 올려버린다. 가뜩이나 높은 마진율을 더 높여보려 ‘장인의 한 땀 한 땀’ 대신 약자의 노동력 착취에 의지하는 민낯까지 드러났다. 분별력 있는 소비가 기업의 탐욕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이 유신시대냐? 디올백 이야기를 했으면 한마디라도 거니 이야기 해야하지 않나? 게이트키핑에 걸려 글 일부가 삭제됐나? 아니면 계엄군부가 기사에 깜장칠을 했나?
2024-06-15 21:50:42
따져보면 원래 '헤도닉 모형' 의도와 아주 벗어난 '가난한 남반구, 부유한 북반구' 현상을 강화하는 불공정 무역 거래가 이뤄지는 것이고 '마케팅'론에서 '4P: Price, Place, Product, Promotion'로 가격 체계가 설명이 되긴 하겠지만 거래 당사국들이 서로 합의하고 공유할 가치(규범적 가치, 경제적 가치 eg.), 가치 투자라고 보기는 무척 어려운 사례들이고 그래서 국제 환경 규약들 준수한 수입품들이나 'MNC Promotion' 제품들, '중저가로 전략 바꾼 CK', '파타고니아', 그 정도는 괜챦을 겁니다.
2024-06-15 21:37:43
일종의 '헤도닉 모형', '모든 시장 참가자들이 선호 체계로 선택을 할 때, 감정, 쾌락이 선택을, 가격을 좌우한다'는 가설-모형으로 사치품들 가격 체계가 설명이 되겠지만, 예를 들어 '조용한 한국 정원을 연상하면서 텃밭 종자들 외에도 각종 화초들을 심었더니 텃밭이지만 감수성이, 감정이 아주 좋아졌다'처럼 원래는 감수성 증진 순기능이란 의도가 '헤도닉 모형'에서 주된 동인(driver)이겠지만 일단 어느 국가의 외국환율, 내국환율, 보편적 기준 후생과 그 때 노동 원가, 국제 아동 노동 금지 규제와 부모들의 거래, 회피 비용, 다
2024-06-15 20:14:30
삭제된 댓글입니다.
2024-06-15 18:29:03
값의고하를 불문하고 이따구로 물의를 일으킨 목사눔을 잡아족쳐야한다. 미꾸라지같은 놈이다. 소금에 비벼 죽여야한다.
2024-06-15 16:32:09
명품병에걸린 한국인 돈좀있고 출세좀했다하여 과시욕이 분기탱천하는 사람들 사람이 명품이여야지 명품물건 갖고있다고 인격과 신분이 상승되나? 대표적인것이 영부인 김건희 여사아닌가?시정 잡배 사기꾼 목사에 걸려 온나라를 흔들고 체면 망신당하니 대한민국 국민이 창피하니 김건희여사는 국민에게 이실직고 석고대죄후 사법심판 받기 바란다.
2024-06-15 12:24:58
삭제된 댓글입니다.
2024-06-15 10:17:26
그래서 김건희 받은 명품 가방이 고작 8만원 밖에 안된다는 거냐 8만원 짜리 가지고 나라를 혼란 스럽게 만든다는 뜻이냐
댓글 11
추천 많은 댓글
2024-06-15 04:05:32
명품? 특히 과시욕이 유난히 많은 한국인들이 호구임을 깨우쳐주는 기사. 줏대없이 남들이 산다고 정신줄 놓고 따라 사는 바보들이 되지 말아야지요.
2024-06-15 10:17:26
그래서 김건희 받은 명품 가방이 고작 8만원 밖에 안된다는 거냐 8만원 짜리 가지고 나라를 혼란 스럽게 만든다는 뜻이냐
2024-06-15 09:17:36
명품과 성형이 결합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