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교과서 “유대인-기독교인은 이슬람의 적” 삭제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6월 21일 20시 28분


코멘트
사우디아라비아 메디나 최대의 이슬람 사원인 ‘예언자의 모스크’. 메디나는 메카와 함께 이슬람 최대 성지로 불린다. 동아DB
사우디아라비아의 교과서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적대적인 표현이 상당수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이 중동 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앙숙인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관계 정상화에 공을 들이는 가운데 이 같은 변화가 나타난 것이다. 양국 관계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미 CNN은 19일 이스라엘 비정부기구 ‘학교교육의 평화 및 문화적 관영 모니터링 연구소’(IMPACT-se)가 지난달 발표한 ‘사우디 교과서 최신 리뷰(2022~2023년)’를 인용해 최근 몇 년간 사우디 교과서에서 기독교나 유대인에 대한 부정적 묘사가 대부분 없어졌거나 완화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최근 2년 동안 사우디 교과서 80여 종과 과거 교과서 180여 종을 비교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 ‘유대인과 기독교인은 이슬람의 적’ ‘유대인과 기독교인은 율법과 복음을 파괴하고 왜곡했다는 비판을 받는다’는 등의 표현이 사우디 교과서에서 삭제됐다. 고교 교과서에서는 ‘적군 시오니스트(이스라엘인)’란 표현이 ‘이스라엘 점령군’으로 완화됐다.

CNN은 보고서와 전문가 등을 인용해 “이 같은 변화가 이스라엘과 시온주의(유대 민족국가를 건설하려는 유대민족주의 운동)에 대한 사우디의 태도에 진전이 있을 수 있다는 긍정적 신호”라고 해석했다. 다만 사우디 학자인 아지즈 알가시안 등 일부 전문가들은 “교과서 수정은 미묘한 것으로 큰 변화를 시사하지는 않는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사우디와 이스라엘 간 외교 관계 정상화를 중재 중이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관계 정상화에 비교적 적극적인, 반면 사우디는 전제조건으로 민간 원자력 개발을 위한 우라늄 농축 허용을 요구하고 있어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카이로=강성휘 특파원 yol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