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생애 첫 패럴림픽에서 스노보드 크로스 LL1(중증 다리 장애) 금메달을 딴 허커비는 릴라를 품에 안은 채 “계속 도전을 하면서 릴라에게도 ‘원하는 모든 것은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고 웃었다.
8년 전에는 상상하지도 못했던 미소였다. 2010년 11월 18일, 허커비는 몇 시간을 울고 있었다. 14세 어린 나이로 암 판정을 받은 뒤 9개월간의 항암치료에도 외려 오른 다리 종양이 겉잡을 수 없이 커지자 의사는 ‘더 나은 삶’을 위해서는 다리를 잘라내야만 한다고 했다. 체조선수를 꿈꾸던 10대 소녀는 다리 절단이 더 나은 삶을 가져다준다는 말을 믿을 수 없었다. 운동선수에게 두 다리는 필수일 것 같았다.
“사는데 두 다리가 있으면 편하겠지만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다. 그랬다면 내가 만난 멋진 사람들도 못 만났을 거고, 세계를 돌아다닐 기회도 없었을 거고, 이렇게 행복하지도 않았을 거다.”
허커비는 16세 때 암센터에서 재활 프로그램으로 유타주 파크시티에 스키여행을 갔다가 처음 스노보드를 탔다. 그의 어머니는 스노보드로 패럴림픽에 도전해보겠다는 딸을 위해 아예 유타에 직장을 얻고 함께 이사를 왔다. 그렇게 패럴림피안의 꿈을 꾼 지 5년 만에 허커비는 부모님이 보는 앞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016년 출산으로 공백기가 있었지만 엄마가 된 허커비는 더 강한 스노보더가 됐다.
정선에서 휘날린 허커비의 보랏빛 머리는 깔맞춤한 보랏빛 의족과 함께 많은 관심을 받았다. 평창 패럴림픽에 맞춰 팀 동료 마이크 슐츠가 만든 ‘평창 브레나 허커비 한정판’ 의족이다. 평소에도 늘 의족을 드러내놓고 생활하는 허커비는 “보라색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색이다. 정말 멋있지 않냐”며 웃었다. 허커비는 “사실 예전에는 의족을 드러내놓지 않았다.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 까 두려웠기 때문이다. 그런데 딸을 낳으면서 내 몸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깨닫게 됐다. 딸은 내가 내 몸을 진정으로 사랑할 수 있게 해줬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허커비는 패럴림픽 선수 최초로 스포츠일러스트레이티드(SI) 잡지에 수영복 모델로 나섰다. 모델 발탁 소식을 듣고 허커비는 방에서 펄쩍 펄쩍 뛰었다.
“장애인이 섹시한 수영복을 입고 포즈를 취하는 건 매우 흔치 않은 기회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바꾸고 싶었다. 다른 여성들이 이걸 보고 자신의 몸이 어떻든지 충분히 강하고 섹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으면 좋겠다.”
허커비는 16일 뱅크드 슬라럼(기문이 있는 코스를 회전하며 내려오며 기록을 겨루는 경기)에서 경주)에서 대회 두 번째 금메달에 도전한다.
정선=임보미 기자 bo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