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유심 교체를 시작한지 이틀째인 29일 서울 서초구의 한 SK텔레콤 대리점. 뉴스1
SK텔레콤이 유심(USIM) 해킹 사건으로 곤혹을 치루고 있는 가운데 ‘유심 포맷’을 5월 중으로 개발해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29일 보도자료를 통해 “유심보호서비스의 경우 로밍 시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고, 유심 무료 교체의 경우 물리적인 재고가 수요에 비해 부족하다”며 “고객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네트워크인프라센터 등의 개발 역량을 총동원해 유심 소프트웨어 변경(가칭 ‘유심 포맷’) 방식을 개발 중”이라고 전했다.
SK텔레콤은 유심 포맷 기능에 대해선 “유심 교체를 하지 않고도 교체에 준하는 효과를 낼 수 있어, 고객 불편 해소가 기대된다”며 “기존 유심 교체가 하드웨어적으로 새로운 유심으로 교체하는 방식인데 비해, 현재 개발 중인 방식은 고객들이 보유한 기존 유심 정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유심 교체와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했다.
SK텔레콤은 “기존 물리적인 교체 대비 앱 재설정 및 데이터 백업 등이 수반되는 고객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교체 소요 시간도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다만, 유심 포맷도 매장을 방문해 유심 변경과 관련한 시스템 매칭 작업을 거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 측은 유심 포맷이 5월 중순 중으로 개발돼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SK텔레콤 측은 지난 19일 발생한 USIM 일부 정보 해킹 사고로 해커가 복제폰을 만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 상태다. 이를 의식해 SK텔레콤은 모든 고객들을 대상으로 유심을 무상으로 교체해 주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 과정에서 USIM 교체를 원하는 고객이 한꺼번에 몰려 재고부족으로 혼란을 겪고 있다.
SK텔레콤 측은 유심 교체 대신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권고하고 있다. 서비스를 가입해도 피해가 발생할 경우 100% 책임지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지난 25일 SK텔레콤 측은 기자회견에서 해킹 관련 실제 유출 피해는 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전날 부산에서 발생한 SK텔레콤 이용자의 알뜰폰 전환과 5000만 원 계좌 이체 사건은 USIM 해킹과는 무관한 스미싱 피해인 것으로 밝혀졌다.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2025-04-29 17:49:09
관리자 서버 로그인 비밀번호가 12345 인 선관위가 얼마나 생구라를 까고 있는지 ... 이걸로 1000% 증명이 끝난거지 ....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