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원의 옛글에 비추다]소인이 권력에 빌붙을 때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8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소인이 안에서 일을 주관하면

밖에서 일을 이룰 수 있는 장수는 있지 않다

小人用事於中 而將帥成功於外者 未之有也

(소인용사어중 이장수성공어외자 미지유야)

―홍대용 ‘담헌서(湛軒書)’


중국의 삼국시대는 위나라의 조조, 촉나라의 유비, 오나라의 손권이 나라를 3등분하여 각각 하나씩 차지하여 각축을 벌였던 시대이다. 삼국 중 최종 승자는 위나라였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인데, 우리는 흔히 유비를 가장 훌륭한 인물로 평가하고 최종 승자였던 조조를 나쁘게 기억하고 있다. 이는 우리에게 친숙한 ‘삼국지연의’라는 소설에서 유비에게 역사의 정통성을 부여했기 때문이다.

유비, 관우, 장비라는 최고의 장수들이 있었고, 인간인지 신인지 도무지 구분이 가지 않는 뛰어난 지략가인 제갈량이 있었는데, 어찌하여 촉나라는 위나라에 패하고 말았던 것일까. 역사를 살펴보면 유비와 제갈량이 살아있을 때에 망한 것이 아니라 유비가 죽은 뒤 약 40년, 제갈량이 죽은 뒤 약 30년 만에 위나라의 침공으로 망하게 된다.

제갈량에게 병법을 배운 강유(姜維)가 대장군으로 있었으나, 그는 정벌에만 너무 치중하다 내부에서 환관이 권력을 장악하는 상황을 막지 못했다. 황호(黃皓)라는 환관이 유비에 이어 왕위에 오른 아들 유선에게 신임을 받아 국정을 좌지우지하면서 외침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조선 후기의 학자였던 홍대용은 촉나라의 역사를 평하면서 강유에 대해 뜻은 충성스럽지만 자신의 힘을 제대로 헤아리지 못하였다고 하였다. 왕의 판단력을 흐리게 하는 환관을 방치하고 바깥일에만 치중하였기 때문에 큰일을 이루지 못한 것이라는 말이다.

실질적인 전쟁은 장수가 하지만 장수의 운용과 큰 전략은 안에서 세워진다. 국가 운영뿐 아니라 모든 사업이 그러하다. 제아무리 현장에서 잘하려고 하더라도 기본적인 정책과 지원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성과를 내는 데에 한계가 있고, 그릇된 정책과 판단은 현장의 붕괴로 이어진다. 한 나라가 망하는 데에는 많은 요인이 작용하는데, 역사에 비추어 보았을 때 소인이 최고 권력자에게 빌붙어 안에서 일을 주관하는 경우가 그중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하겠다.

홍대용(洪大容·1731∼1783)의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담헌(湛軒)이다. 조선 후기 실학자로 북학파다. 지동설을 주장하는 등 과학에 있어서도 선구적인 인식을 하였다.
 
이정원 한국고전번역원 책임연구원
#홍대용#담헌서#소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