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균의 휴먼정치]대통령의 타이밍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7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박제균 논설위원
박제균 논설위원
지난 주말 TV 채널을 돌리다 ‘복면가왕’이란 프로그램 재방송을 봤다. 노래 대결에서 패하면 복면을 벗는데, 더원이란 가수가 가왕(歌王) 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복면을 벗은 뒤 아쉬워했다. “발라드를 부를걸 그랬나 봐요.” 더원이 부른 노래는 아이유의 히트곡 ‘좋은 날’. 덩치 큰 더원이 아이유의 귀여운 율동을 흉내 내며 부르는 ‘좋은 날’이란…. 노래 실력은 알겠는데, 어색하기 짝이 없었다.

정치는 타이밍의 예술

발라드를 부를 때와 경쾌한 댄스곡을 할 때가 따로 있듯 모든 것엔 때가 있다. 특히 정치는 타이밍의 예술이다.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가 ‘대세론’을 풍미하던 시절 신문 1면에 사진이 실릴 때가 많았다. 그런데 바늘 가는 데 실 가듯 원로 정치인 A 씨가 찍히곤 했다. 참모들은 A 씨가 이 총재의 수구 이미지를 강화한다는 이유로 질색하곤 했다. 결국 참모들이 나서 A 씨가 이 총재 곁에 오지 못하도록 했다. 놀라운 일은 사진 찍을 땐 보이지 않던 A 씨가 현상(現像)만 하면 이 총재 주변에서 환하게 미소 짓고 있었다. 참모들은 “A 씨는 타이밍의 귀재”라며 혀를 내두르곤 했다.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도 타이밍의 귀재였다. 타이밍이 성패를 가르는 군사정변을 성공시켰을 뿐 아니라 적기(適期)에 필요한 경제정책을 내놓아 대한민국 산업화를 이끌었다. ‘공격적인 창업자’와 ‘주저하는 2세’는 재계에서도 흔한 현상. 아버지와 달리 박근혜 대통령의 타이밍 감각은 무딘 편이다. 시류에 휩쓸리지 않는 이런 스타일 때문에 대선 후보 땐 ‘원칙의 정치인’ 이미지를 굳혔다. 그러나 통치자는 달라져야 한다. 정치와 정책이 타이밍을 놓치면 국민과의 소통을 막는 장애물이 된다.

박 대통령은 2014년 세월호 참사 33일 만에 눈물로 사과했다. 절절한 토로였으나 실기(失期)한 뒤여서 호소력이 약했다. 4·13총선에서 기록적인 참패를 당하고도 ‘새로운 국회가 되기를 바란다’는 투의 달랑 두 줄짜리 논평을 내놓았다. 국민은 폐부를 파고드는 조용필 노래를 듣고 싶은데, 속사포 랩으로 퉁쳐버린 경우라고 할까. 총선 후 한 달이 지나서야 찔끔 청와대 인사를 했고, 그나마 참패 책임론이 불거진 현기환 정무수석비서관은 남겼다. 현 수석은 총선 한 달 반 뒤에야 물러났으나 개각은 여전히 부지하세월(不知何歲月)이다.

민주화 이후 가장 타이밍 감(感)이 뛰어난 대통령은 단연코 YS(김영삼)다. 절묘한 타이밍에 하나회를 숙청해 대한민국에서 쿠데타의 공포를 없앴다.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가 넘는 터키에서도 엊그제 쿠데타 시도가 있었다. YS는 ‘돈과 권력을 동시에 가져선 안 된다’며 공직자 재산공개를 통해 단지 돈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불이익을 줬다. 부자라고 불이익을 받는 시대는 지났지만, 권력으로 돈을 벌거나 돈으로 권력을 사는 악행은 엄단해야 한다. 박 대통령이 시기를 놓치지 말고 권력을 치부(致富)에 악용한 진경준 검사장 비호 의혹을 받는 우병우 민정수석을 교체해야 하는 이유다.

우병우 교체 失期 말아야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대통령 리더십에 관해 이렇게 말했다. “재임 중 테러조직 폭격을 오늘 결정할까, 내일 할까 고민한 적이 있었다. 지나고 보니 오늘 결정해서 해결할 확률이 70%만 돼도 나중에 결정해 확률을 100%로 올리는 것보다 더 낫다는 걸 깨달았다. 대통령의 결정은 시간 싸움이다.”

박제균 논설위원 phark@donga.com
#박정희#박근혜#김영삼#우병우#빌 클린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