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94>조절간맹(蚤絶姦萌)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8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蚤: 일찍 조 絶: 끊을 절 姦: 간사할 간 萌: 싹 맹

화근의 조짐이 되는 것은 싹부터 잘라야 한다는 말로 한비자 ‘외저설우상’ 편에 나오는 말이다. “권세를 잘 유지하는 자는 그 간사한 싹을 일찌감치 잘라 버린다(善持勢者, 蚤絶其姦萌).” 군주의 주위에는 간신, 특히 애첩들이 많은데 그들의 농간이 끊이지 않았다. 궁정 권력의 비주류에 속하는 애첩들은 정실과 끊임없는 주도권 다툼을 벌이며, 어떤 방법으로든 군주의 뜻에 영합함으로써 신임과 총애를 얻고 승계의 질서까지 농락하는 위험천만한 자들이다. 군주에게 애첩이 있으면 간신들도 그에게 추종하면서 자신들의 사리사욕을 채우며, 결국 그들은 한통속이 되어 군주나 주변 인물의 목숨마저 위태롭게 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한비가 ‘간겁시신(姦劫弑臣)’이란 편에서 든 비유를 보자.

“초나라 장왕(莊王)의 동생 춘신군(春申君)에게는 여(余)라는 애첩이 있었고, 춘신군의 정실 소생으로 갑(甲)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애첩 여는 춘신군이 정실부인을 버리게 하려고 스스로 몸에 낸 상처를 그에게 보이면서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당신을 섬길 수 있게 된 것은 소첩으로서는 매우 큰 행운입니다. 그렇지만 정실부인의 뜻을 따르고자 하면 당신을 섬길 수 없고, 당신의 뜻을 따르면 정실부인을 거스르게 됩니다. 소첩이 어리석은 까닭에 두 주인을 섬기기에는 힘이 부족한 듯합니다. 두 분을 모두 섬길 수는 없는 상황이라 부인에게 죽임을 당하느니 당신 앞에서 죽겠습니다. 만일 당신 곁에 총애 받는 여인이 다시 있게 된다면, 바라옵건대 당신은 이 일을 잘 살피시어 사람들에게 비웃음을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십시오.”

춘신군은 여가 꾸며 낸 말만을 믿고서 정실부인을 버렸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애첩 여는 적자 갑을 없애고 자기 아들로 대를 잇게 하려고 춘신군에게 아들을 음해하여 갑을 죽이게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정실은 버림을 받았고 그의 아들은 죽임을 당한 것이다.

한비의 논지는 이 모든 것은 군주의 책임이지 결코 간사한 계략을 꾸미는 애첩이나 간신들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김원중 건양대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한자#조절간맹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