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찬식 칼럼]박완서의 어머니

  • Array
  • 입력 2011년 2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최근 타계한 소설가 박완서의 작품에는 어머니에 대한 서술이 많이 나온다. 그의 어머니는 ‘삼국지’ 등 웬만한 고전을 다 꿰고 있었다. 박완서는 어린 시절 어머니가 들려주는 무궁무진한 옛이야기 속에서 자랐다. 소설가의 어머니는 뛰어난 이야기꾼인 사례가 많다. 박완서도 “내 문학세계의 근원은 어머니”라고 고백했다.

현대사 헤쳐나간 여성의 전형

그의 어머니는 이야기꾼에 머물지 않았다. 박완서가 세 살 때 남편을 갑자기 잃은 뒤 아들과 딸을 시골에 그냥 놔둬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아들과 함께 서울로 올라가 먼저 자리를 잡고 박완서가 초등학교에 입학할 무렵 딸까지 서울로 데려온다. 박완서의 새로운 거처는 서울 독립문 부근에 있는 현저동 달동네의 전세방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위장 전입’을 한다. 부자 동네인 사직동에 있는 초등학교로 딸을 보내기 위해서였다. 좋은 학교에 다녀야 ‘신(新)여성’이 될 수 있다는 게 어머니의 신념이었다. 박완서는 친척이 사는 사직동 주소와 현저동 주소 두 개를 외워야 했다. 학교에서 주소를 물어보면 사직동 주소를 대답해야 했고, 혹시라도 길을 잃는 경우에 대비해 현저동 주소를 알아야 했다. 박완서는 인왕산을 넘어 등교했다. 그의 어머니는 삯바느질로 생활비를 벌었다. 박완서는 서울대에 진학한다.

광복 전후를 치열하게 살았던 그의 어머니는 우리 현대사에서 여성의 역할을 보여준다. 강인한 모성으로 살림을 꾸리고 자식을 교육시켰다. 박완서도 다섯 자녀를 낳아 모두 명문학교에 보냈다. 막내인 외아들을 초등학교에 입학시키고 난 마흔 살 때 오래 간직했던 소설가의 꿈에 도전한다. 1970년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에서 당선된 ‘나목’은 그해 여름 쓴 작품이었다. 이후 40년 동안 그의 문학은 날로 무르익어갔다.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정신적 유산이 박완서의 인생 여정에 밑거름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6·25전쟁 직후 베이비붐이 크게 일었던 시절에도 이 땅의 어머니들은 비슷하게 살았다. 집에서 하숙을 치기도 하고 거리에 나가 좌판도 벌이며 생계를 이어간 것은 어머니들이었다. 1955년 출산율은 6.33명이었다. 이때 태어난 많은 아이들은 한국의 경제 성장에 주역이 됐다. 박완서는 “우리 근세사는 여성에게 많은 빚을 졌다”고 말한다.

한때 아이를 많이 낳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지는 일이었다. 그러나 이제 와서 보면 인구 급증은 우리에게 축복이었다. 일본의 침체는 오래 지속된 저출산 탓이 크다. 중국의 지도자 마오쩌둥은 1950년대 출산장려 정책을 폈다. 이 시기의 자녀들이 주축이 돼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을 만들었다. 중국은 1980년 도입한 1자녀 정책의 부작용을 걱정하고 있다. 젊은 세대가 부양해야 할 노인 인구가 갈수록 늘어나기 때문이다. 산아제한 정책을 펴지 않는 인도의 인구는 2027년이 되면 중국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인도의 잠재력을 더 평가하기도 한다.

저출산 시대에 그리운 가치

한국은 어느새 아이들의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는 나라가 됐다. 1.24명의 출산율로 세계 186개국 가운데 세 번째로 낮다. 1970년대 초 한 해 100만 명 이상 태어나던 신생아는 2009년 44만 명으로 줄었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100년에는 우리 인구가 현재의 절반인 2500만 명으로 감소한다고 한다.

출산율이 낮은 이유를 놓고 ‘남의 탓’이 무성하다. 젊은 세대는 사교육비가 부담스럽고 보육시설 등 출산 환경이 나쁘다고 말한다. 정부가 강력한 출산 장려책을 펴지 않아서 그렇다는 주장도 나온다. 모두 일리 있는 말이다. 그러나 이런 문제들이 말끔히 해결된다고 해도 출산율이 크게 증가할 것 같지는 않다. 자녀 양육에 기쁨보다 고생이 많다는 사실을 모두가 눈치 채 버렸기 때문이다.

교육열도 전 같지 않다. 소득 상위 계층에선 교육에 더 적극성을 보이지만 저소득층으로 내려가면 사정이 다르다. 부모의 이혼 등으로 한 부모 아래 있거나 조부모 밑에서 자녀를 키우는 가정이 140만 가구에 이른다. 이런 가정의 아이들이 공부를 잘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도시 저소득층이 집중돼 있는 서울과 경기의 학력은 전국 최하위다. 수도권 인구가 전국 인구의 절반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농어촌의 저학력 문제 이상으로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경제적 격차가 빈곤의 대물림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제도를 통해 해결해야 할 부분이 있겠지만 해당 부모의 역할과 의지도 중요하다. 하지만 이들의 ‘어머니 정신’은 과거의 활기를 잃어가고 있다.

박완서의 어머니 같은 존재가 그리워지는 것은 그 순수함 때문이다. 그들의 억척스러움과 생명력, 따스함에는 가족을 소중히 여기는 가치가 들어 있었다. 박완서 역시 “그때는 다들 그렇게 살아야 하는 것으로 생각했다”고 전한다. 이런 마음을 다시 살릴 수 있을 것인가. 한국 사회의 미래는 여기에 달려 있다.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chansi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