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窓]“김치 먹고 아리랑 불러 행복”

  • Array
  • 입력 2009년 11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日교토 ‘고향의 집’ 재일동포 노인 100명 오순도순 타향살이
일본 내 4곳에 마련된 ‘고향의 집’이 재일 한국인 고령자들의 안식처가 되고 있다. 교토 ‘고향의 집’의 노인들이 올봄 한국인 국악인들이 찾아오자 반갑게 맞이하고 있다. 사진 제공 교토 ‘고향의 집’
일본 내 4곳에 마련된 ‘고향의 집’이 재일 한국인 고령자들의 안식처가 되고 있다. 교토 ‘고향의 집’의 노인들이 올봄 한국인 국악인들이 찾아오자 반갑게 맞이하고 있다. 사진 제공 교토 ‘고향의 집’
“잊고 있던 한국말과 고향 생각이 자꾸자꾸 나고, 매끼 여러 사람이 김치를 먹고 ‘아리랑’을 함께 부르는 것도 행복하고. 사는 맛이 나.”

14일 일본 교토(京都) 미나미(南) 구에 있는 ‘고향의 집’. 65∼98세의 재일동포 노인 100명(할머니 80명, 할아버지 20명)이 모여 사는 곳이다. 김두내 할머니(94)는 “여기 오기 전까지는 한국말도, 고향에 대한 기억도 잊고 살았다”며 말년에 되찾은 고향의 맛을 얘기했다. 20세 때 일자리를 찾아 남편과 함께 고향 부산을 떠나 교토에 정착한 김 할머니는 지난해 4월 ‘고향의 집’에 들어왔다. “고향 떠날 적엔 한글이란 걸 몰랐어. 그때는 여자는 학교 다닌다는 걸 엄두도 못 내던 시절이니. 글을 모르니 말도 잊고….” 김 할머니와의 대화는 통역 없이는 불가능했지만 김 할머니는 우리말을 쓰려고 애를 썼다.

‘고향의 집’ 설립은 1984년 사망 6개월 만에 발견된 재일동포 노인의 고독한 죽음과 시신을 인수할 사람이 없다는 아사히신문의 보도가 계기가 됐다. 한국계 일본인 사회사업가 윤기 씨(사회복지법인 ‘마음의 가족’ 이사장)와 가나야마 마사히데(金山政英) 전 주한 일본대사 등 두 나라 오피니언 리더 500여 명이 기금 모금에 나섰다. 일제강점기에 강제로, 또는 먹고살기 위해 일본에 와야 했던 노인들 상당수가 기초연금조차 받지 못해 이국땅에서 쓸쓸하게 죽음을 맞는 안타까운 현실에 많은 이들이 정성을 모았다.

1989년 오사카(大阪) 인근 사카이(堺) 시를 시작으로 오사카, 고베(神戶)에 이어 지난해 4월 교토까지 모두 4곳에 세워진 ‘고향의 집’에는 400명의 재일동포 노인들이 생활하고 있다. 교토 ‘고향의 집’의 유일한 부부 생활자인 박우석 할아버지(95)는 “스무 살에 고향인 경북 영일을 떠나왔다”며 “같은 처지의 노인들끼리 옛이야기를 나누는 것만으로도 건강해지는 것 같다”고 했다.

한국보다 일본에서 산 기간이 훨씬 긴 노인들은 다다미가 깔린 온돌방에서 김치와 우메보시(梅干·매실 장아찌)를 먹으며 한국어와 일본어를 함께 쓰지만 추석 때면 한복을 입고 차례를 지낸 뒤 민요를 배운다. 교토 ‘고향의 집’ 박정미 시설장은 “일반 양로원에 적응하지 못하던 분이 이곳에 와서 ‘가나다’를 배워 한국책 읽기에 도전하는 걸 보고 가슴이 아팠다”고 했다. 11세 때 ‘먹고살기 위해’ 삼촌이 있던 교토로 건너왔다는 원금교 할머니(87)는 “‘고향의 집’에서는 고향의 냄새가 난다”고 눈물을 글썽였다.

교토=조수진 기자 jin0619@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