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4년 만에 최저치…WTI 배럴당 60달러 아래로

  • 뉴시스(신문)
  • 입력 2025년 4월 9일 07시 33분


60달러 아래는 2021년 4월 이후 처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 영향으로 금값에 이어 국제유가도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31일 서울시내 주유소에 유가 정보가 나타나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11달러(0.15%) 오른 배럴당 72.73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3월물 브렌트유는 0.29달러(0.38%) 상승한 배럴당 76.87달러로 집계됐다. 2025.01.31. [서울=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 영향으로 금값에 이어 국제유가도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31일 서울시내 주유소에 유가 정보가 나타나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11달러(0.15%) 오른 배럴당 72.73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3월물 브렌트유는 0.29달러(0.38%) 상승한 배럴당 76.87달러로 집계됐다. 2025.01.31. [서울=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8일(현지 시간) 국제유가가 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은 전 거래일보다 1.34달러(2.22%) 하락한 배럴당 59.10달러에 마감했다.

국제유가 벤치마크인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 종가는 1.39달러(2.16%) 내린 배럴당 62.82달러를 기록했다.

WTI 선물 가격이 배럴당 60달러선 밑으로 떨어진 것은 2021년 4월 이후 4년 만이다.

국제유가는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이후 4거래일 연속 급락하고 있다.

미국의 고율 관세가 보복 관세로 이어지면서 글로벌 경기 침체와 원유 수요 감소 우려가 커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연말 브렌트유와 WTI 가격이 각각 배럴당 62달러, 58달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6년 말에는 브렌트유가 55달러, WTI가 51달러까지 내려갈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