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츠그룹 직원들 2년만에 풀려나
“투자유치 위한 우호 메시지” 분석
중국이 2년 전 체포했던 미국 기업 실사 컨설팅 업체인 민츠그룹 직원 5명을 석방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25일 보도했다. 그간 반(反)간첩법을 광범위하게 적용하며 중국 내 외국 기업들의 활동을 탄압한다는 비판을 받아온 중국 당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뒤 격화되고 있는 글로벌 통상 전쟁 중 해외 투자 유치 등을 위해 우호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FT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對)중국 관세 인상으로 외국 기업의 투자 유치가 더 중요해진 시점에서 이뤄진 조치”라고 전했다.
FT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2023년 3월 민츠그룹의 중국 사무소를 기습 단속해 직원 5명을 체포했고, 사무소 운영도 중단시켰다. 당시 중국 당국은 민츠그룹이 사업 허가를 벗어난 활동을 한 혐의로 기소한다고 밝혔다. 또 같은 해 8월 150만 달러(약 22억 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중국 당국은 그해 4월과 5월에도 각각 미국 컨설팅 회사인 베인앤드컴퍼니와 캡비전의 중국 사무소를 급습했고, 직원들을 조사했다. 하지만 베인앤드컴퍼니와 캡비전의 경우 장기간 구금된 직원은 없었다. 중국이 같은 해 7월 간첩 행위 적용 범위를 대폭 확대한 반간첩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면서 많은 외국 기업들이 앞다퉈 중국 사업을 축소하거나 철수했다.
이번 조치에 대해 중국이 반간첩법에 대한 우려와 내수 부진 등으로 외국 기업의 대중국 투자가 급감하자 이를 회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대중국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8262억5000만 위안(약 167조 원)으로 전년 대비 27.1% 줄었다.
리창(李强) 중국 총리는 23일 중국발전고위급포럼(중국발전포럼) 개막식에 참석한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에게 “(외국) 기업의 고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며, 중국 시장에 깊이 통합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20일 통신, 의료, 교육 등 외국 기업의 진출이 어려웠던 분야의 시범 사업 확대를 포함한 ‘외자 안정 행동 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