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발탁도 예외없다”…3기 中국무위원 5명 중 3명만 남아

  • 뉴스1
  • 입력 2023년 10월 25일 10시 37분


코멘트
4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린 제20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서 취재진들이 리상푸 중국 국방부장의 연설을 지켜보고 있다. 2023.6.4/뉴스1
4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린 제20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서 취재진들이 리상푸 중국 국방부장의 연설을 지켜보고 있다. 2023.6.4/뉴스1
중국 당국이 두달째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던 리상푸 국방부장의 해임을 공식 발표했다. 또한 지난 7월 낙마한 친강 전 외교부장도 국무위원직에서 해임했다.

이로써 올 초 출범한 시진핑 3기 지도부의 국무위원 5명 중 단 3명만 남게됐다. 일각에선 중국 내각 주요 부처의 장관 2명이 몇달 사이에 실각한 것을 두고 중국의 불투명한 의사결정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한다.

25일 중국 관영 CCTV 등에 따르면 중국은 전일 개최한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6차 회의에서 리상푸를 국무위원 겸 국방부장관직에서 해임하고, 친강 전 외교부장도 국무위원직에서 해임한다고 발표했다. 리상푸 전 부장의 경우 인민해방군 통치 기구인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자격도 박탈 당했다.

전인대 상무위는 리상푸 전 국방부장의 면직 사유는 물론이고 후임 부장도 지명하지 않았다. 밍파오 등 중화권 언론에선 후임 국방부장으로는 허웨이둥 중앙군사위 부주석, 류전리 중앙군사위 합동참모장이 유력하게 거론된다고 보도했다.

리상푸 전 부장은 지난 8월 29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3차 중국-아프리카 평화안보포럼 기조연설을 마지막으로 자취를 감췄다.

시창위성발사센터에서 오랜기간 근무하던 리 전 부장은 2016년 1월 군사개혁 이후 신설된 전략지원부대 부사령관 겸 참모장, 2017년 9월 중앙군사위 장비발전부장등을 각각 맡았으며, 지난 2022년 10월 중국 공산당 20기 1중전회에서 전략지원부대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당 중앙군사위원 자리를 꿰찼다. 그는 2017년 중국이 F러시아 전투기를 구매한 것과 관련한 군 핵심 관계자로 지목돼 2018년 9월 미국 정부 제재 대상에 오르기도 했다.

최근 낙마한 두명의 장관급 인사는 모두 3연임에 성공한 시진핑 주석이 직접 발탁한 인물이지만 내부 정치적 기반이 크게 없다는 공통점이 있다.

전문가들은 2명의 주요 장관급 인사가 몇 달 사이에 해임된 데 대해 시진핑 주석이 부패와 관련해 무관용 원칙을 보여줬다고 해석한다. 그간 시 주석은 당, 정부, 군 등 부정부패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보여줬으며 특히 강군 건설을 위해선 부패 척결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해왔다.

알프레드 우 싱가포르국립대 교수는 “시 주석이 부패에 강경한 지도자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에 부패 사건은 그의 인기를 높이는 데 있어 어느정도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의 불투명한 의사 결정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지 매그너스 옥스퍼드대학 차이나센터 연구원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중국은 투명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중국의 주요 인사의 실각을 둘러싼 미스테리가 있다”며 “이는 중국 정치 체제의 강점을 드러내는 동시에 약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같은 결정은 시진핑 주석의 판단과 신뢰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곘지만 당 내부에서 이같은 오판이 공감으로 받아들여질지, 아니면 경제 및 외교 정책의 실책으로 받아들여질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베이징=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