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레반에 피격’ 노벨평화상 말랄라 “자매 도울 시간 얼마 남지 않았다”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8월 18일 15시 02분


코멘트
50년전 미니스커트 입었던 아프간 여성1972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의 거리에서 여성 3명이 미니스커트와 서구식 복장을 입은 채 걸어가고 있다. 1970년대 아프가니스탄의 자유로운 분위기를 보여준다. 게티이미지
50년전 미니스커트 입었던 아프간 여성
1972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의 거리에서 여성 3명이 미니스커트와 서구식 복장을 입은 채 걸어가고 있다. 1970년대 아프가니스탄의 자유로운 분위기를 보여준다. 게티이미지
탈레반의 총격을 맞고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노벨평화상 최연소 수상자 말랄라 유사프자이(24)가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의 공포는 현실”이라며 “이들을 도울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했다.

말랄라는 17일 뉴욕타임스(NYT)에 ‘나는 아프간의 자매들이 걱정이 된다’는 제목으로 기고를 했다. 말랄라는 이 글에서 “지난 20년 간 수백만의 여성들은 교육을 받았지만 그들에게 약속된 미래는 사라지고 있다”며 “탈레반이 정권을 다시 잡고 있고, 나는 다른 많은 여성들처럼 아프간의 자매들이 걱정된다”고 썼다.

노벨평화상 최연소 수상자 말랄라 유사프자이.
노벨평화상 최연소 수상자 말랄라 유사프자이.
그는 2007년 자신의 파키스탄 고향에서 옷 속에 책을 숨기고 두려움에 떨면서 등교하던 시절을 회고한 뒤 “나이 15살 때 탈레반은 내가 학교갈 권리를 주장한다는 이유로 날 죽이려 했다”고 적었다. 말랄라는 “나는 지금 내 삶에 감사할 수밖에 없다. 작년에 대학을 졸업한 뒤 나의 커리어를 밟아나가고 있다”며 “총 든 남자들이 규정한 삶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2012년 탈레반 대원의 총탄을 맞고 쓰러졌지만 영국에서 치료를 받고 기적적으로 회복했다. 이후 여성의 권리 신장과 교육 기회 확대 등을 위해 적극 노력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4년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가려지는 몸… 사라지는 존재감예멘 여성 사진작가 부슈라 알무타와켈의 2010년 연작 ‘엄마, 딸, 인형’. 
무슬림 모녀와 인형을 소재로 귀와 머리카락만 가리는 ‘히잡’(스카프의 일종)을 쓴 엄마, 아무것도 쓰지 않은 딸이 대조를 
이룬다(왼쪽 위). 모녀의 복장이 점차 얼굴과 손발을 제외한 전신을 가린 ‘차도르’(왼쪽 가운데), 눈만 보이는 ‘니깝’(왼쪽 
아래), 전신을 가리는 ‘부르카’(가운데 아래)로 바뀐다.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점령한 15일 이후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아프간
 여성들의 자유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이 작품을 공유하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인스타그램 캡처
가려지는 몸… 사라지는 존재감
예멘 여성 사진작가 부슈라 알무타와켈의 2010년 연작 ‘엄마, 딸, 인형’. 무슬림 모녀와 인형을 소재로 귀와 머리카락만 가리는 ‘히잡’(스카프의 일종)을 쓴 엄마, 아무것도 쓰지 않은 딸이 대조를 이룬다(왼쪽 위). 모녀의 복장이 점차 얼굴과 손발을 제외한 전신을 가린 ‘차도르’(왼쪽 가운데), 눈만 보이는 ‘니깝’(왼쪽 아래), 전신을 가리는 ‘부르카’(가운데 아래)로 바뀐다.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점령한 15일 이후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아프간 여성들의 자유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이 작품을 공유하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인스타그램 캡처
말랄라는 “아프간 여성과 소녀들은 예전의 나처럼 교실에 가지 못하고 책을 잡지 못할 것이라는 절망에 빠져 있다”며 “일부 탈레반 사람들이 여성의 교육받고 일할 권리를 부정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여성 권리를 잔혹하게 억압했던 탈레반의 역사를 봤을 때 아프간 여성들의 공포는 현실”이라고 적었다. 그는 “벌써부터 여성들이 대학과 직장에서 거절당한다는 얘기를 듣고 있다”며 “아프간의 아이들은 전쟁 속에서 태어났고 가족들은 난민수용소에서 수년 동안 살아왔으며 수천 명이 집을 떠나야 했다”고 썼다.

말랄라는 “아프간 국민들, 특히 여성과 아이들을 돕는 것은 전혀 늦지 않았다”면서 이들에 대한 도움을 호소했다. 그는 “역내 강국들은 여성과 어린이 보호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중국 이란 파키스탄 등 이웃 국가들이 피란민들에게 문을 열고, 난민 어린이들의 학교 등록을 허락해야 한다”고 적었다. 이어 “탈레반은 여성에게도 수학과 과학을 배울 수 있는 권리, 대학에 가고 직업을 고를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며 “우리는 아프간 여성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 낭비할 시간이 없다”고 글을 마무리했다.


뉴욕=유재동 특파원 jarret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