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美 스파이’로 몰렸지만…조선 독립 도와야 했던 日 변호사의 사연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2월 7일 17시 51분


코멘트

자신이 직접 쓴 외할아버지 평전을 읽고 있는 오이시 스스무 씨. 뒤에 있는 액자 사진이 외할아버지인 고 후세 다쓰지 씨다(왼쪽 사진). 가마쿠라=김범석 특파원 bsism@donga.com
자신이 직접 쓴 외할아버지 평전을 읽고 있는 오이시 스스무 씨. 뒤에 있는 액자 사진이 외할아버지인 고 후세 다쓰지 씨다(왼쪽 사진). 가마쿠라=김범석 특파원 bsism@donga.com
“전 조선청년독립단은 우리 2000만 민족을 대표해 정의와 자유의 승리를 득(得)한 세계 만국의 앞에 독립을 기성(期成)하기를 선언하노라….”

한복을 입고 있는 후세 다쓰지. 오이시 스스무 제공
한복을 입고 있는 후세 다쓰지. 오이시 스스무 제공
1919년 2월 8일 오후 2시. 일본 도쿄 한복판에 위치한 조선기독교청년회관(현재 ‘재일본한국YMCA’). 메이지(明治)대 유학생이었던 백관수가 낭독한 것은 대한의 완전한 자주 독립을 주장하는 독립선언문이었다.

재일(在日)조선유학생들에 의한 독립선언문은 한국 독립운동의 강경한 ‘선포’였다. 학생들의 외침은 3·1운동 등 이후 일어난 한국 독립운동의 도화선이 됐다. 한국 독립운동사 중 가장 첫머리를 차지하는 이 사건이 일어난 지 올해로 100년이 됐다.
변호사 시절 후세 다쓰지의 모습. 오이시 스스무 제공
변호사 시절 후세 다쓰지의 모습. 오이시 스스무 제공
● 재일 유학생들의 선언에 감동 받은 日 변호사

2·8 독립선언을 주도한 대표는 모두 11인이었다. 하지만 최팔용, 송계백 등 조선청년독립단의 변호를 맡으며 이들을 지원했던 숨은 조력자, ‘넘버 12’를 빼놓을 수 없다. 2004년 일본인 최초로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받은 바 있는 인권 변호사 고(故) 후세 다쓰지 씨(布施辰治·1880~1953)다.

2·8 독립선언 100주년을 맞아 가문에서 유일하게 후세 씨의 자료를 모으며 발자취를 찾고 있는 외손자 오이시 스스무 씨(大石 進·84)를 동아일보가 만났다. 출판사 ‘일본 평론사’ 회장을 지내기도 했던 오이시 씨는 2004년 훈장 수여식에서 후세 변호사를 대신해 수상한 바 있다. 인터뷰는 가나가와(神奈川) 현 가마쿠라(鎌倉) 자택과 후세 변호사의 묘비가 있는 도쿄 도시마(豊島)구 내 사찰 죠자이지(常在寺)에서 5시간에 걸쳐 진행됐다.

후세 씨는 일본인 사건은 오랫동안 맡았지만 조선인 변호는 처음이었다. 오이시 씨는 “2·8 독립선언은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필연적 사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2·8 독립선언이 대한제국의 부활이 아닌 대한민국을 표방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 직후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이 주장한 ‘민족자결주의’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며 “후세 변호사는 그 선언 내용과 깊이에 감동을 받았고 조선 유학생들은 한민족의 존엄을 존중해 준 후세의 변호에 감격했다”고 말했다.
후세 다쓰지 씨(오른쪽)가 생전에 변호를 맡았던 독립운동가 박열(왼쪽)과 함께 있다. 오이시 스스무 제공
후세 다쓰지 씨(오른쪽)가 생전에 변호를 맡았던 독립운동가 박열(왼쪽)과 함께 있다. 오이시 스스무 제공

● ‘미국 스파이’로 몰렸지만…조선 독립을 도와야 했다

2·8 독립선언 후 서명 위원 등 27명의 유학생이 체포됐고 1심에서 유죄를 선고 받는 등 재판은 빠르게 진행됐다. 유학생들은 인권 변호사 후세 씨를 찾았고 그가 2심 변호를 맡으며 상황은 달라졌다. 유학생들은 내란죄를 면하고 출판법 위반 등 비교적 가벼운 금고형(7~9개월)을 받게 됐다.

후세 씨가 2·8 독립선언 사건을 맡게 된 것에 대해 오이시 씨는 “외할아버지는 변방 도호쿠(東北) 출신 농민으로 스스로 약자라고 생각했다”며 “그는 식민지 백성을 구원 받아야 할 존재라고 여겼다”고 말했다. 또 “어릴 적 한학과 유학을 익히며 조선에 대한 경외심도 갖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후세 변호사는 이후 독립운동가 박열, 의혈단원 김시현 등 굵직한 사건을 맡으며 조선의 독립을 도왔다. 1923년에는 동아일보의 후원으로 한국에 처음 방문해 독립 강연회를 여러 차례 이어갔다. 같은 해 관동대지진이 발생하자 일제의 조선인 학살에 대해 “조선인들에게 정중히 사과를 드리고 책임을 통감한다”며 동아일보에 사죄문을 기고했다. 1925년 여름 서울 수해 발생 당시 성금을 모았다.
후세 다쓰지는 동아일보의 후원으로 1923년 처음 한국에 왔다. 당시 천도교회 강연회장에서 조선 독립에 관한 강연을 하는 모습. 주변에 일본 순사들이 서 있다. 오이시 스스무 제공
후세 다쓰지는 동아일보의 후원으로 1923년 처음 한국에 왔다. 당시 천도교회 강연회장에서 조선 독립에 관한 강연을 하는 모습. 주변에 일본 순사들이 서 있다. 오이시 스스무 제공

●지금 살아있다면 통일 위해 노력했을 것

일제는 후세 씨를 ‘미국 스파이’로 몰며 압박했다. 출판물 발매 금지, 변호사 자격 박탈, 징역 등을 당해야 했다. 오이시 씨도 ‘미국 스파이의 외손자’라는 이유로 감시를 받았고 학우들로부터는 따돌림을 당했다. 오이시 씨는 “‘바르고 약한 자를 위해 더 큰 힘을 다 해라’라는 처세훈으로 행동한 그의 신념은 결코 틀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2·8 독립선언 100주년. 후세 변호사가 지금의 한국을 본다면 어떤 말을 할까. 오이시 씨는 “우선은 눈부시게 성장한 한국의 모습을 기쁨으로 축복할 것이지만 한 편으로는 둘로 갈라진 한반도의 상황, 북한 주민들의 인권 유린 등에는 안타까워할 것”이라며 “외할아버지가 살아있다면 남북 통일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등으로 냉랭해진 현재의 한일 관계에 대해서도 오이시 씨는 “한국의 과도한 반일(反日) 주의를 이용하려는 일본인들이 적지 않다. 이는 결국 ‘아베 정권’에 도움이 되고 있는 것 같다”며 “냉정한 정치력이 어느 때보다 한일 양국에 필요할 때”라고 말했다.

후세 다쓰지가 변호를 맡은 의열단원 김지섭이 옥중에서도 단식 투쟁을 이어가며 일제에 저항하자 후세 다쓰지가 이를 걱정하는 김지섭의 동생 김희섭에게 격려의 편지를 보냈다. 오이시 스스무 제공
후세 다쓰지가 변호를 맡은 의열단원 김지섭이 옥중에서도 단식 투쟁을 이어가며 일제에 저항하자 후세 다쓰지가 이를 걱정하는 김지섭의 동생 김희섭에게 격려의 편지를 보냈다. 오이시 스스무 제공

●가장 귀한 자료는 1925년 김지섭 안부 전하는 친필 편지

오이시 씨는 외할아버지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자료로 편지 한 통을 꺼냈다. 1925년 1월 18일 날짜가 찍힌 총 3장의 편지는 후세 씨가 당시 의열단원이었던 추강(秋岡) 김지섭의 동생 김희섭에게 보낸 친필 편지다. 오이시 씨는 “김지섭은 후세 변호사가 가장 선명하게 기억하는 한인 변호인”이라고 말했다.

김지섭은 1924년 1월 5일 일본 도쿄 일왕 궁성의 니주바시(二重橋)를 향해 폭탄 3개를 던졌다. 1923년 간토(關東)대지진 당시 일제의 조선인 학살에 대한 복수였다. 그는 자신의 ‘거사’가 일본을 각성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사형이 아니면 나를 무죄로 석방하라”고 밝히는 등 투쟁을 이어 나갔다. 급기야 저항의 뜻으로 옥중 단식 투쟁도 불살랐다.

그의 단식 투쟁은 당시 동아일보 등을 통해 보도됐다. 이를 본 김지섭의 동생인 김희섭은 형을 걱정하는 마음으로 김지섭의 변호를 맡은 후세 변호사에게 문의를 했고 후세 변호사는 3장의 종이에 답변을 했다.

조선 풍수해 당시 기금 마련을 위해 후세 다쓰지가 만든 전단. 사진제공 오이시 스스무
조선 풍수해 당시 기금 마련을 위해 후세 다쓰지가 만든 전단. 사진제공 오이시 스스무

“김 군의 투옥은 오늘도 투쟁의 정신으로 부단히 전쟁을 계속 이어나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부당함에) 끝까지 적극적으로 싸우고, 또 싸워야 하는 것이 올바른 길임에도 ‘단식’이라는 소극적인 수단밖에 취하지 못함을 호소하는 것은 참 비참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나 후세 씨는 김지섭의 투쟁 의지를 높이 평가했다. 그는 “허락된 수단을 모두 동원해 싸우고 있는 것은 그의 강한 신념 때문”이라며 “이렇게까지 할 수 밖에 없는 김 군의 마음을 이해한다”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제 평소처럼 식사를 하고 건강도 회복했다”며 김희섭을 안심시켰다. 김지섭은 3년 후인 1928년 2월 20일 뇌일혈로 지바(千葉) 형무소 독방에서 순국했다.

오이시 씨는 “김지섭의 옥내 투쟁 덕분에 이후 많은 구류자가 인권 등의 측면에서 침해받지 않게 됐다”며 “외할아버지는 그의 대단한 투쟁과 신념을 극찬했다”고 말했다.

후세 다쓰지가 2004년에 받은 대한민국 건국 훈장. 가마쿠라=김범석 특파원 bsism@donga.com
후세 다쓰지가 2004년에 받은 대한민국 건국 훈장. 가마쿠라=김범석 특파원 bsism@donga.com

이 자료를 함께 갖고 있는 한국 독립기념관의 윤소영 학술연구부장은 “일제 강점기 피고와 변호인의 관계를 뛰어 넘는 신뢰와 인간미가 묻어나는 내용”이라며 “변방에서 한국의 독립 운동을 도운 일본인이 있었음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고 평가했다.

가마쿠라 도쿄=김범석 특파원 bsis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