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건설 강국 코리아 “이젠 아프리카로”

  • 입력 2009년 9월 10일 02시 59분


코멘트
한-아프리카 산업협력 포럼
中-日 선점 경쟁… 한국도 네트워크 구축 나서
“플랜트 수주 등 정부-기관-기업 3자협력 절실”

“아프리카와 한국은 서로가 필요로 하는 것을 갖고 있습니다.”(조삼광 아프리카유엔경제위원회·UNECA 개발부문장)

9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르네상스서울호텔에서는 ‘한-아프리카 산업협력 포럼’이 열렸다. 이 자리에는 케냐 에너지부 장관, 기니 대외협력부 장관, 가나 에너지부·수자원부 차관, 잠비아 산업부 차관 등 아프리카 4개국의 고위 관료와 현지 자원 관련 공기업 사장 20여 명이 참석했다. 아프리카 시장 공략의 일환으로 지식경제부와 한국플랜트산업협회가 초청한 아프리카 유력 인사들이었다. 이날 행사에는 국내 플랜트·건설 분야 기업인 등 200여 명도 자리를 함께했다.

플랜트협회 관계자는 “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은 소수의 고위 관료가 막강한 결정권한을 갖는 경우가 많아 사업 수주를 위해서는 이들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맺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귀띔했다. 국내 기업인들은 이날 아프리카 관료들이 소개한 총 22억3000달러 규모의 플랜트·건설 사업안에 귀를 쫑긋 세우는 모습이었다.

○ ‘죽음의 땅’에서 ‘황금의 땅’으로

빈곤과 질병, 내전의 땅으로 불려온 아프리카가 최근 천연자원의 보고(寶庫)이자 높은 성장 가능성을 지닌 신흥시장으로 인식되면서 아프리카의 ‘환심’을 사기 위한 각국 정부와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아프리카연합(AU)에 따르면 아프리카에는 세계 10%의 석유와 8%의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다. 코발트 다이아몬드 백금 등 광물자원도 각각 세계 매장량의 75%, 47%, 45%가 이곳에 묻혀 있다. 선진국들이 선점한 중동과 유럽을 제외하면 세계에서 개발 가능성이 가장 높은 자원 매장지인 셈이다.

하지만 이를 사업화하는 데 필요한 도로, 철도, 전기, 수로, 플랜트, 광케이블 설비 등은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다 보니 인프라 조성 사업 규모는 매년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다. 지난해만 해도 500억 달러 이상의 신규 개발 프로젝트가 발주됐다. 향후 성장성은 더욱 높다.

이에 중국은 2001년 100억 달러 수준이던 대(對)아프리카 교역을 지난해 1070억 달러로 열 배 이상 늘리고 대대적인 원조 자금을 투입해 현지 민심과 시장을 빠르게 장악해나가고 있다. 최근 아프리카 각국의 광산과 원전 개발 계약은 사실상 중국의 ‘싹쓸이’다.

일본은 자국 최고의 엘리트 외교관들을 이 지역에 파견하고 현지에 대사관 3곳을 증설하는 등 자원외교 역량 강화에 나섰다. 작년에는 아프리카 40여 개국 정상을 초청해 2012년까지 아프리카 자금 원조와 민간투자 규모를 지금의 2배로 늘리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 한국, 기술력과 노하우로 ‘구애’

중국과 일본의 ‘자금 공세’에 대응하는 한국의 전략은 ‘기술력 강조’와 ‘발전 노하우 전수’로 요약된다.

아프리카 지역 천연자원 확보 및 인프라 사업 수주를 위해 한국의 뛰어난 건설·플랜트·정보기술(IT)망 구축 역량을 현지 국가에 소개하고, 이른 시간 안에 경제를 재건한 국가개발 노하우도 전수하겠다는 것이다. 지경부 구미협력과 임제학 사무관은 “특히 올해부터는 IT를 통한 시장 개척을 새롭게 모색 중”이라고 전했다.

실제 삼성물산은 최근 앙골라, 세네갈에 이어 가봉의 전자정부 설계 프로젝트 수주를 잇달아 성공시켰다. 2007년 르완다에 사무소를 개설한 KT도 알제리 콩고 등에서 국가 광케이블망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아프리카 진출기업 지원활동을 강화한 수출보험공사 측은 “국내의 경우 중국 일본에 비해 뒤늦게 진출한 감이 있어 정부와 유관기관, 기업의 3자 협력이 더욱 절실하다”고 말했다.

임우선 기자 imsu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