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해관리 어떻게?/일본]위험지역 24시간 감시

  • 입력 1999년 8월 4일 19시 41분


《미국과 일본은 한국보다 태풍과 홍수가 훨씬 잦고 규모도 크다. 그래도 그 규모나 빈도에 비하면 재산피해, 특히 인명피해가 극히 적다. 태풍과 홍수에 어떻게 대비하고 대처하기에 피해를 이처럼 줄일 수 있는가. 이들 두 선진국의 풍수해 관리체제를 알아본다》

지난해 8월 일본 니가타(新潟)현에 이틀 동안 500㎜ 이상의 집중호우가 내렸다. 사망자는 1명이었다. 현지 행정책임자의 ‘피난권고’ 덕분이었다.

자연재해가 우려되면 시정촌(市町村)장은 ‘피난권고’나 ‘피난지시’를 내릴 수 있다. 이것이 피해방지와 축소에 크게 기여한다.

97년 전국적으로 161차례의 피난권고와 26차례의 피난지시가 있었다. 5만1070가구 14만4085명의 주민이 일시 대피했다.

피난권고나 지시를 하려면 ‘확신’이 필요하다. 확신을 가지려면 기상예보가 정확해야 하고 시정촌장이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를 평상시에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태풍이 접근하고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기상청이 자랑하는 아메다스(AMEDAS·지역기상관측시스템)가 위력을 발휘한다.

전국 1300여개 기상관서와 관측소의 기상자료가 매시 10분경 자동적으로 도쿄(東京)의 아메다스센터로 보내진다.

이들 자료는 10분 이내에 지방기상대로 흘러간다. 지방기상대의 각종 정보는 리얼타임으로 각 시정촌에 제공된다. 행정 책임자가 자기 자리에 앉아 대책을 세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자체는 이에 만족하지 않는다. 지역정보는 별도로 수집한다. 강 3개를 끼고 있는 도쿄도는 건설성 레이더와 도 건설국이 수집한 ‘하천수위 정보’를 24시간 시정촌에 보낸다.

이 정보는 도청 재해대책본부와 도청회의실에도 표시돼 있다.

지자체는 붕괴위험이 있는 제방 야산 계곡 등을 평소에 철저히 파악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28만 곳에 이른다. 그 중에서도 특히 위험한 8만8000여 가구에는 지난해 엽서를 보내 주의를 당부했다. 시정촌과 위험지역은 유선경보시스템으로 연결돼 있다.

일본의 자연재해 사망자는 60년대에 연평균 468명이었으나 70년대 253명, 80년대 212명으로 줄었다.

이 가운데 태풍과 홍수 피해자는 95년 19명, 96년 20명, 97년 50명 등으로 매년 50명 이하. 80년대 초반까지 풍수해가 전체 재해의 50% 이상을 차지했던 것에 비하면 대폭 줄었다.

〈도쿄〓심규선특파원〉kssh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