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단 오르기, 당신의 목숨 구한다…“하루 6~10층 적당”

  • 동아닷컴
  • 입력 2024년 4월 30일 15시 22분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일상생활에서 계단 오르기만 꾸준히 실천해도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이 또 한번 입증됐다.

지난주 유럽 심장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계단을 습관적으로 이용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약 39%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단 이용자는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과 심장마비, 심부전 또는 뇌졸중으로 인한 전반적인 사망 위험도 24% 감소했다.

이번 연구는 35세에서 84세 사이의 다양한 건강 이력을 가진 48만479명(여성 53%)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9개의 연구를 메타분석 한 것이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연구 저자인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교의 소피 패독 박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람들이 계단 오르기를 일상의 한 부분으로 포함할 것을 권장한다”라고 말했다.

그녀는 “우리 연구는 계단을 더 많이 오를수록 더 큰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 이는 확인이 필요하다”며 “직장, 집 또는 다른 곳에서 계단을 이용하시라”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건강상 보상을 받으려면 하루에 얼마나 많은 계단을 올라야 할까.

30일(한국시각) 미국 뉴욕포스트가 인용한 연구에 따르면 매일 6~10층을 오르면 조기 사망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연구에서는 하루에 5층을 오르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20%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 장로교 브루클린 감리교 병원의 심장학과장인 마니시 파리크 박사는 계단을 이용할 때 우리 몸이 즉각적이고 호의적으로 반응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심박수가 올라가고, 심박출량(사람의 심장에서 1분 동안 박출 하는 혈액의 양)이 증가하고, 순환 상태가 개선된다”며 “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라고 이날 미국 공영 라디오 방송 NPR과 인터뷰에서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지난 2월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계단 오르기는 4~8주 만에 체성분,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 인슐린 민감성 등 심장 대사 위험 지표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단 오르기는 유산소 운동과 저항력 훈련을 결합하여 심박수를 높이고 다리 근육을 단련하므로 일반적인 유산소 운동보다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처음부터 욕심을 내지 말고 단계적으로 시작하되, 애플와치 같은 도구를 활용해 운동량을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심장 전문의인 칼린 롱 박사는 계단 오르기를 위한 적정 목표 범위를 제시했다.

“사람들이 하루에 6~10층 정도의 계단을 오를 수 있다면 좋은 목표가 될 것 같다”라고 NPR에서 그가 말했다.

주의할 점도 있다. 계단은 올라갈 때보다 내려올 때 무릎관절에 부담이 훨씬 더 크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거나 천천히 걸어 내려오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 좋아요
    6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 2024-04-30 18:31:58

    힘들게 운동하면 그만큼 건강해진다. 익숙해지면 운동이 즐거워진다. 즐겁게 건강 수명을 늘려 나와 가족과 이웃과 사회가 행복해지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걷기, 조깅, 달리기등의 유산소 운동. 물론 근력 운동과 유연성 스트레칭을 병행하면 금상첨화. 스피닝 자전거 타기, 크로스핏, 에어로빅, 사교 댄스, 이런 모든 몸쓰는 활동이 좋은 여가 선용이자 행복 취미라고 말하고 싶다. 많은 이들이 이런 운동 트레이너가 만든 동네 교실에 돈내고 적극 가입해서 그들 청년 사업가들도 행복하게 하고 나도 행복하게 되는 윈윈 사회가 되길 소망한다.

  • 2024-04-30 21:00:37

    복층 아파트에 살면 오래 살겠네요?

  • 2024-04-30 21:28:48

    지금의 60대가 상대적으로 가장 건강한 이유는 학교다닐때 최소 2킬로 매일 걸어서 학교 다녔다 고등학교 까지 12년간...그리고 당시 굶지는 않을 정도가 되다보니 영양상태도 그렇게 나쁘지 않았다. 채소와 김치 그리고 잡곡밥이 주식이었고 설탕은 구경하기도 힘든 시절이었으니 얼마나 건강하게 자라왔는지 지금에서야 알수가 있다.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6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