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 연구비 유용-수당 부당 수령”… 산업부, 한전공대 총장 해임 건의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법카 부정 사용 264건-1억2600만원
교직원 47명 시간외 수당 부정 수급
이사회 의결 없이 급여 14% 인상도

한국에너지공대(한전공대) A 교수는 지난해 연구비 530만 원을 연구과제와 관련이 적은 무선 헤드폰, 신발건조기, 공기청정기 등을 사는 데 썼다. 같은 대학 B 직원은 카페에서 법인카드로 포인트를 결제해두고 본인의 휴대전화 번호 뒷자리를 입력해야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한 뒤 개인적으로 사용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 4월부터 한전공대 업무 전반에 대해 감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은 비위 사실을 적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산업부는 관리 감독이 미흡했던 데다 총장 개인의 업무추진비 집행, 관리 역시 문제가 있었다며 윤의준 한전공대 총장을 해임하도록 이사회에 건의했다.

한전공대 감사 결과 교수, 직원 등의 법인카드 부정 사용 건수는 총 264건, 금액은 1억2600만 원에 달했다. 쉬는 날에도 영수등 증빙 자료 없이 사용된 건수가 158건(6700만 원)이었다.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분할 결제된 건수도 19건(1000만 원) 확인됐다. 한 교수는 연구비카드로 음식값을 계산하기도 했다.

일도 하지 않고 시간외 근무수당을 받아 간 경우도 적발됐다. 학교 팀장급 한 직원은 퇴근 이후 외부에서 사내 시스템에 접속해 퇴근 시간을 입력하는 식으로 총 25회에 걸쳐 320만 원의 시간외 수당을 받아 갔다. 47명의 교직원이 총 1730만 원의 시간외 근무수당을 규정을 위반하며 받아 갔다. 임직원들에게 제공되는 임차사택을 지원하면서 지원 한도를 벗어나는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지급하기도 했다.

산업부 협의나 이사회 의결 없이 내부 결재만으로 직원들의 급여를 인상하기도 했다. 자체적으로 급여를 전년보다 13.8% 인상한 결과 팀원급 직원의 연봉은 300만∼1500만 원, 팀장은 400만∼600만 원 인상됐다. 처장의 경우 연봉이 1800만∼3500만 원 올랐다.

산업부는 한전공대 이사회에 윤 총장 해임을 건의하면서 비위 관련자 6명에 대해 징계, 주의·경고 83건 등의 처분도 요구했다. 또 법인카드 부정사용 금액, 연구 목적 외 사용된 연구비 등 총 5900만 원을 환수 조치하도록 했다.

한전공대는 조만간 이사회를 열고 윤 총장 해임을 의결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 윤 총장에 대한 해임안은 큰 이변이 없는 한 이사회를 통과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했다. 윤 총장을 제외하고 학교 이사회 구성원은 총 12명이다. 한국전력 측 인사가 4명이고, 산업부와 교육부, 전남도 인사가 각각 1명, 민간 출신이 5명이다.

한전공대는 재심의 요청을 검토하고 있다. 한전공대는 이날 “감사결과에서 지적된 문제점이 총장의 해임을 요할 정도로 중대한 사안에 해당하는 것인지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산업부 감사 규정에 따라 재심의 요청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한전공대는 “학교 운영상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 데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빠른 시일 내에 개선, 시정하고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로 설립된 한전공대는 지난해 3월 개교했다.

세종=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한전공대 총장 해임 건의#법카 부정 사용#연구비 유용-수당 부당 수령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