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흐름 못타면 도태”… 車부품기업들 사활건 기술 확보전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3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격랑 속 자동차 부품기업]
전기차 모터코어 생산 업체 변신후 270억대 영업이익 내며 고속 성장
내연차 변속기 주력 판매하던 기업, 전기차 감속기를 새 성장 동력으로
전기차, 내연차보다 부품 2만개 적어 “부품사 40% 폐업 위기… 지원 절실”

2일 오전 충남 천안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공장은 전기차용 구동모터코어(고정자+회전자)를 만드는 작업이 한창이었다.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은 천안 공장과 포항 공장을 합해 국내에서만 연간 190만 대의 모터코어를 만들 수 있는 생산 체제를 갖추고 있다.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제공
2일 오전 충남 천안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공장은 전기차용 구동모터코어(고정자+회전자)를 만드는 작업이 한창이었다.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은 천안 공장과 포항 공장을 합해 국내에서만 연간 190만 대의 모터코어를 만들 수 있는 생산 체제를 갖추고 있다.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제공
고정자(아래)와 회전자(위)로 이뤄진 구동모터코어는 고정자에 전류를 흘려 보내면 회전자가 돌아가면서 전기자동차 바퀴에 운동에너지를 전달한다.
고정자(아래)와 회전자(위)로 이뤄진 구동모터코어는 고정자에 전류를 흘려 보내면 회전자가 돌아가면서 전기자동차 바퀴에 운동에너지를 전달한다.
2일 오전 충남 천안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공장에서 프레스 기기가 얇은 전기 강판을 여러 겹으로 찍어내고 있었다. 전기차에 들어가는 구동모터코어다. 구동모터코어는 구리선이 감겨 있는 고정자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회전자가 돌아가면서 운동에너지를 만드는 부품. 이 에너지가 결국 바퀴를 움직이기 때문에 구동모터코어를 ‘전기차의 심장’이라고도 부른다.


임직원이 약 950명인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은 지난해 1조4190억 원의 매출액에 278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특히 모터코어 사업 매출액이 3년 전에 비해 80% 이상 늘었다. 냉장고나 세탁기 등에 들어가는 모터용 코어에 의존하다 전기차용 구동모터코어를 본격 납품하기 시작한 덕분이다. 전기차 전환 시대를 맞아 글로벌 시장이 주목하는 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 냉장고 모터 코어 만들던 철강 가공기업, 전기차 날개 달고 비상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며 전기차에 들어갈 주요 부품을 생산하는 국내 대기업과 강소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2일 방문한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은 2020년 4월 모회사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철강재 가공 3개 사업부문을 분리해 독립법인으로 출범한 포스코SPS를 전신으로 두고 있다. 지난해 1월 사명을 바꾼 건 미래 사업으로 낙점한 모터코어에 전사 차원의 투자를 지속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이 회사가 만드는 구동모터코어는 전기강판에 홈을 내 압착하는 일반적 방식 제품보다 자속밀도(토크)가 약 15%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은 2014년 이 기술이 적용된 모터코어를 처음 납품했는데, 현재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 4, 5곳을 고객사로 두는 고속 성장을 경험했다. 윤태현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코아사업실장은 “배터리 효율이 단 1%라도 더 좋아지게 만들고 싶은 해외 바이어(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해마다 공장 투어를 요청하고 있다”고 전했다.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은 올해는 기존 중국 공장의 증설과 함께 9월 멕시코 신축 공장 가동을 앞두고 있다. 유럽 생산공장 신설도 계획하고 있다. 3대 전기차 시장인 미국, 중국, 유럽을 정조준한 것이다. 2030년 국내외에서 구동모터코어 700만 대를 생산해 글로벌 시장점유율을 1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도 세웠다.


내연기관차 변속기를 주력 제품으로 판매하던 현대트랜시스도 올해 사업구조 재편 전략을 발표하고 전기차 감속기를 새로운 핵심 성장 사업으로 지목했다. 현대트랜시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디스커넥터 액추에이터 시스템(DAS·주행 환경에 맞게 이륜구동과 사륜구동 방식을 자유롭게 전환)은 현대차 ‘아이오닉 5’에 탑재됐다. 시트 역시 전기차에 맞게 경량화한 제품을 2019년 미국 전기차 업체 리비안에 1조 원어치 납품하기도 했다.

● “전기차 전환 흐름에 올라타지 못하면 도태” 위기감 커
중견 부품업체들의 체질 개선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내연기관 엔진 대신에 전기차에 새롭게 들어가는 모터를 비롯한 새로운 부품에 맞춰 이를 생산하는 산업 전환에 몰두하고 있는 것이다. 주로 자동차 공장들이 집중적으로 모여 있는 울산, 광주, 부산 등에서 이러한 움직임이 벌어지고 있다.

자동차 플라스틱 부품업체인 선진인더스트리는 지난달 울산 GW일반산업단지에 필러(플라스틱 기둥) 신설공장 착공에 돌입했다. 광주의 자동차 부품업체인 피티지는 전기차 바퀴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인 ‘인휠모터’를 생산하기 위한 공장을 지난달 광주 평동산단에 준공했다. 부산에 본사를 둔 오트로닉도 지난해 12월 울산 하이테크밸리 산업단지에 전기차에 들어갈 전장부품 제조공장을 신설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밖에 아이엘사이언스가 전기차 충전이 가능한 가로등을 2021년 출시하는 등 중견기업을 중심으로 전기차 생태계로 뛰어드는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동화 전환은 주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위주로 이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중소기업들은 사업 전환을 위해 과감한 투자를 할 여력이 없어 겨우 현상 유지에만 몰두하고 있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연 매출 100억 원 미만 기업의 77.4%가 전환 대비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1000억 원 미만 기업에서는 49.1%, 1000억 원 이상 기업에서는 20.2%만 대비가 이뤄지지 않은 것과 대조된다.

전기차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의 절대 수 자체가 적다 보니 시장 변화에 발맞추지 못한 기업들은 기업의 존속이 위태로운 상황이다. 내연기관차에는 약 3만 개의 부품이 들어가지만 전기차는 1만1000∼1만2000개만 필요하다. 전체 부품이 줄어들면서 동력계 및 변속기 등을 만드는 내연기관 부품기업의 30∼40%가 사라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하성용 중부대 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 교수는 “부품업체뿐만 아니라 사후정비 업체들도 전기차 전환으로 30∼40%가 폐업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내연차 관련 업체들이 도태되지 않도록 소규모 부품 회사들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천안=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한재희 기자 hee@donga.com
#전기차#자동차 부품기업#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공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