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 온실효과로 460도 불지옥… 축복의 땅 지구 지켜내야” [더 퓨처스]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1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기초과학연구원 이연주 CI

1일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에 선 이연주 IBS 기후 및 지구과학연구단 행성대기그룹 CI. IBS 제공
1일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에 선 이연주 IBS 기후 및 지구과학연구단 행성대기그룹 CI. IBS 제공
샛별, 새벽별, 저녁별, 개밥바라기….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이 천체는 해 뜨기 직전이나 해가 진 직후 밝게 빛나는 금성이다. 이 금성을 연구해 지구의 미래를 찾겠다는 행성 과학자가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첫 지구과학 분야 연구단으로 올해 6월 발족된 ‘기후 및 지구과학 연구단’의 ‘행성대기그룹’을 이끄는 이연주 CI(수석연구자급 연구원·39). IBS는 미래세대의 리더를 육성하기 위해 매년 연구단장에 준하는 CI를 선정해 스스로 연구주제를 정하고 조직도 구성하는 ‘전권’을 준다.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를 거쳐 유럽우주국(ESA)과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등에서 금성을 연구해온 그를 IBS 본원에서 만났다.

―달과 화성에 가겠다고 시끌벅적한 요즘, 왜 금성인가.

“금성은 ‘사악한 쌍둥이(Evil Twin)’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금성은 크기와 부피가 지구와 비슷하지만 지구의 90배가 넘는 대기압과 황산 구름, 460도 이상의 고온에 시달린다. 과거에 바다가 존재했을 수도 있는 금성은 온실효과로 인해 지금은 ‘극한의 불지옥’이다. 두 행성이 왜 달라졌는지 밝혀내면 지구의 미래를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금성 연구의 르네상스가 왔다’는 말이 들린다.

“1980년대 옛 소련의 베네라 탐사선이 금성에 착륙해 지표가 메말랐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금성 탐사가 중단됐다. 그런데 지난해 ESA는 ‘인비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다빈치+’와 ‘베리타스’라는 금성 탐사선을 보낸다는 계획을 각각 발표했다. 러시아도 1984년 종료된 베네라 계획을 잇는 ‘베네라-D 계획’을 내놓았고 인도는 슈크라얀 1호라는 금성 탐사선 발사를 준비 중이다. 최근 금성의 새로운 면모가 포착됐기 때문이다.”

―금성의 새로운 면모라니….

“유럽 최초의 화성 탐사선 ‘마스 익스프레스’의 카피 제품을 금성 탐사에 이용한 게 ESA의 금성 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2005∼2014년)였다. 이 탐사를 통해 화산 등 금성의 지질 활동이 활발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금성 연구의 추세는….

“금성의 구름 상층에 관측되는 미확인 흡수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확인 흡수체가 자외선을 흡수하는 양이 달라지면 금성 대기가 변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있다는 가능성을 알려주는 것이다.”

―금성 관측은 어떻게 하나.

“일본 JAXA의 금성 탐사선 ‘아카쓰키’가 전 세계에 금성 관측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아카쓰키의 수명이 언제 다할지 모른다. 국내 스타트업들과 협업해 초소형위성(큐브샛)을 띄워 금성을 관측하고 싶다.”

―금성 연구를 통해 꿈꾸는 미래는….

“매일 금성을 보면서 우리가 지구라는 아름다운 행성에서 사랑하며 살고 있다는 것이 행운이라는 생각이 든다. 금성을 몰랐다면 지구가 얼마나 축복된 곳인지 깨닫지 못했을 것이다. 지구에 극단적인 온난화가 발생한다면 지금의 금성처럼 되지 말라는 법이 없다. 한국도 지구의 미래를 위해 국제사회와 공동 연구할 수 있게 되기를 꿈꾼다.”


대전=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금성#지구#이연주 ci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