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나간 시간을 위한 애도’ 김홍신 “가장 완벽한 복수는 용서”

  • 뉴시스
  • 입력 2023년 10월 10일 15시 00분


코멘트
“가장 완벽한 복수는 용서지요.”

신작 ‘죽어나간 시간을 위한 애도’을 출간한 소설가 김홍신(76)은 “이번 소설은 1971년 육군 소위로 철책선 부대 소대장을 하면서 구상을 했지만 군사독재 시절이 너무 길어 발표하지 못하고 있었다”면서 “소설에 ‘애도’라는 단어를 집어넣기 위해 제목을 정하는 데만 두 달 가까이 고심 했다”고 말했다.

1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 간담회를 연 김 작가는 이번 소설 집필을 위해 탈북민을 비롯해 육군 형무소에서 근무했던 헌병 등을 직접 취재했다고 밝혔다. 특히 ‘애도다운 애도’에 대해 고민하며 이태원 참사 현장에 가서 기도하기도 했다.

김 작가는 “사랑, 용서, 배려, 베품의 특징은 그 안에 애도가 들어가 있다는 것”이라며 “진심과 용서가 ‘애도 다운 애도’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한국인은 애도를 잘하는 민족입니다. 사회적으로 무슨 문제가 있으면 법원이나 검찰청 앞에 꽃이 많이 놓이잖아요. 저는 그것도 어찌 보면 애도의 한 상징이라고 봤습니다. 저도 지금까지 저를 공격하거나 가짜 뉴스로 괴롭혀도 그 사람을 미워하지 않고 오히려 그 사람을 위해 기도했어요. 그 사람을 미워하면 그 사람의 노예로 사는 거니까 오히려 기도를 해버린 거죠.”

소설은 1971년 사살된 북한 장교의 시체에 십자가를 꽂아주고 명복을 빌어준 죄로 ‘적인종‘으로 매도된 학도군사훈련단 출신 대한민국 국군 소위 한서진의 일대기를 그린다. 적군의 죽음에도 애도를 표하던 서진이 고문을 거치며 인류애를 상실하고 이후 용서라는 깨달음을 얻어가는 과정을 통해서 시대의 흐름 속에서 이뤄지는 성장을 보여준다.

대표작 ’인간시장‘을 시작으로 ’칼날 위의 전쟁‘ ’바람 바람 바람‘ 등 사회비판적인 소설을 써온 김홍신이 최근 사랑과 용서에 대한 이야기를 쓰는 배경에는 트라우마가 있다.

만년필로 소설을 쓰다 보니 손에 마비가 오기도 했고 요로 결석으로 수술하기도 했다는 그는 “(소설을 쓰며 아팠던) 트라우마 때문에 7년간 소설을 쓰지 못했고 8 째에 발표한 것이 장편소설 ’단 한번의 사랑‘이었다”며 “그동안 사회 바판적이거나 역사적인 것을 쓰다가 트라우마가 생겼으니 사랑 이야기를 쓰면 써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후 ’바람으로 그린 그림‘과 지금의 소설까지 쓰게 됐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138권의 소설을 완성한 김 작가는 “2권을 더 써서 140권을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는 “나 자신을 자꾸 이기고 싶다”며 “나이가 들다보니 육체의 문제가 반드시 있다. 그럼에도 내가 모자라고 부족하기 때문에 그걸 이기려면 나에게 주어진 작은 재능이 글 쓰는 거니까 글로써 안정을 시키자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제 기도 중 하나는 남을 기쁘게 하고 조금이라도 세상에 보탬이 되게 살자는 거예요. 제가 원고 쓰는 속도는 느리지만 죽는 날까지 정진해서 ’인간시장‘부터 제가 쓴 책들을 사랑했던 독자들에게 받은 사랑을 보답하는 방법을 찾아보려 합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