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혁명 학생-시민 희생 위에 오늘날 번영”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4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어제 4·19혁명 제63주년 기념식
김주열 열사 모친 등 31명 건국포장

제63주년 4·19혁명 기념식이 19일 서울 강북구 국립4·19민주묘지에서 열렸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기념식은 독립유공자이자 4·19 공로자인 이희승 씨가 혁명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쓴 비문의 일부인 ‘자유의 꽃이 피련다’를 주제로 윤석열 대통령과 박민식 보훈처장 등 정부 인사, 4·19혁명 유공자와 유족, 정부 주요 인사 등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됐다. 경과보고, 기념공연, 유공자 포상, ‘4·19의 노래 제창’ 순으로 약 40분간 진행됐다.

정부는 이날 기념식에서 윤석열 정부 첫 4·19혁명 유공자 포상을 실시했다. 혁명 과정에 참여했던 당시 부산고 학생 11명과 대전상고 학생 6명, 그리고 김주열 열사의 모친 권찬주 여사 등 총 31명에게 건국포장이 수여됐다.

4·19혁명에 참여했던 학교의 후배 학생들도 기념식에 함께해 눈길을 끌었다. 전한승 열사(당시 수송초 6학년)의 후배 남녀 학생이 맹세문을 낭독하고, 4·19혁명 참여 고등학교인 대광고 동성고 중앙고 소속 학생들이 애국가를 제창했다. 4·19혁명 관련 보훈단체장과 함께 4·19혁명 참여 대학인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의 후배 학생들이 헌화와 분향에 참여했다.

기념식에 앞서 윤 대통령은 국립4·19민주묘지에 안장된 507위의 유영(遺影)이 봉안된 유영봉안소를 찾았다. 역대 대통령 중 기념식에 참석하며 유영봉안소를 참배한 건 윤 대통령이 처음이다. 박 처장은 “우리 국민들이 오늘날의 자유민주주의를 토대로 한 번영이 4·19혁명에 참여한 학생과 시민들의 의로운 외침과 희생 위에 서 있음을 기억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정부는 숭고한 4·19혁명의 정신을 책임 있게 계승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관석 기자 jks@donga.com
이승우 기자 suwoong2@donga.com
#4·19혁명#제63주년 기념식#건국포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