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1자는 몇㎝…안성 청룡사 기둥서 ‘곡자’ 발견

  • 뉴스1
  • 입력 2019년 6월 5일 10시 11분


코멘트

조선후기 건축물 추정 대웅전서 발견…당대 척도 추정 자료

안성 청룡사 대웅전 보수 중 기둥 밑에서 발견된 곡자.(문화재청 제공)© 뉴스1
안성 청룡사 대웅전 보수 중 기둥 밑에서 발견된 곡자.(문화재청 제공)© 뉴스1
조선 후기 건축물로 추정되는 안성 청룡사 대웅전(보물 제824호)의 해체 보수 과정에서 ‘목재 곡자’(장변 43㎝, 단변 31.3㎝, 두께 2㎝ 내외)가 나왔다.

이 곡자는 대웅전 상량문 기록 등을 토대로 볼 때, 1863년(철종 14년) 대웅전 수리공사 당시 기둥의 해체보수 작업 과정에서 넣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곡자는 ‘ㄱ’자 형태의 자로, 전통건축에 쓰인 목재와 석재 길이를 측정하거나 집 전체의 크기와 비례, 치목(나무를 깎는 일)과 치석(돌 다듬는 일)에 필요한 기준선을 부여할 때 사용한다.

5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경기 안성시 청룡사 대웅전 해체보수 과정에서 목조건축물에서 가장 안전한 장소 중 하나인 대웅전 뒤쪽 기둥 하부와 초석 사이에서 이같은 곡자가 나왔다.

곡자 주변에 습기 조절 등을 위한 건초류와 고운 황토 등이 함께 발견된 점으로 볼 때, 후대 사람들이 건물을 지을 때 사용된 치수 단위를 알 수 있도록 한 옛 목수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

발견된 곡자는 단변을 10치로 나누어 세부 단위를 ‘一(일)’부터 ‘十(십)’까지 표기했다. 특히, ‘一(일)’에서 ‘三(삼)’까지는 다시 한 치당 10등분을 해 측정의 정밀도를 높였다. 또한 용척에 대해 1차 분석한 결과, 한 자가 313㎜ 내외로 대웅전의 용척과 정확히 일치했고, 근대에 사용된 303㎜ 용척과도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13㎜ 기준은 조선 세종대 도량형 통일(1446년)에 따른 영조척과 거의 유사하며, 18세기 후대까지 사용된 기준이기 때문에 이번에 발견된 곡자는 당대에 건물을 짓거나 수리할 때 사용한 척도를 추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안성 청룡사 대웅전은 주요 부재의 노후화로 인한 건물 전체 변형이 심해 해체·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관계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2016년 6월부터 해체보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