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미학,건축이야기 20선]<20>건축가는 어떤 집에서…

  • 입력 2007년 6월 25일 03시 06분


코멘트
집을 짓는 건축가들은 과연 어떤 집에서 사는지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20년 넘게 건축계에 몸담은 필자의 경우 2년 전 신축한 45평 아파트를 분양받아 당시에는 누구나 그렇듯 ‘베란다 확장’이라는 공공연한 불법을 저지르며 간단한 절차와 간편한 이사를 통해 입주해 지금껏 살고 있다. 인테리어라고 해 봐야 벽지를 교체한 것과 새로 구입한 레디메이드 가구가 전부다. 그나마 벽지는 아토피 피부염으로 고생하는 둘째 딸 때문에 천연재료 벽지로 바꾼 것이다.

건축가의 집이라고 해서 반드시 멋지고 특별하진 않다. 주택의 정의와 설계 방법은 다양하며 정답도 없다. 최적의 ‘풀이’만 있을 뿐이다. ‘건축가는 어떤 집에서 살까’에 필자로 참여한 건축가 13명이 제시한 ‘풀이’도 각양각색이다. 그렇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건축가들의 다양한 삶의 방식을 살아가는 공간에 담아냈다는 것이다. 인사동 길과 산본신도시를 설계한 김진애 씨,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설계자 류춘수 씨, TV 프로그램 ‘느낌표’의 도서관 프로젝트 건축가 정기용 씨, 서울시청어린이집 건축으로 유명한 서혜림 씨…. 잘 알려진 건축가들이 털어놓는 ‘우리 집 이야기’가 아름다운 사진과 함께 소개된다.

책에도 나오듯 많은 건축가가 자신의 집을 공개하기 꺼린다. 건축가의 집은 뭔가 다를 것이라는 과도한 기대에 부응하기 힘든 점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이 기획 이후 2년여의 시간이 걸린 것만 보더라도 이해가 간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접했을 때 ‘나올 것이 나왔다’라고 생각했다.

건축가 집의 외관이나 인테리어가 멋질 것이라는 기대를 갖는다면 당혹스러울지도 모른다. 책을 보면 건축가의 집이라고 해서 화려하고 별스러운 게 아니다. 한옥을 고쳐 사는 사람도 있고 리노베이션을 한 아파트에 사는 사람도, 산간벽지에 별채를 지어 놓은 사람도 있다. 특별하지 않은 듯 보이지만 그 집에는 저마다 삶의 방식이 담겨 있다. 개성과 철학이 있고, 상상력과 자부심이 담겨 있다. 몇 평이고, 집값이 얼마고 하는 것부터 따지는 대부분의 사람에게 이 책은 ‘어디에 사느냐는 것은 어떻게 사느냐는 것을 말해 준다’는 건축가 김원 씨의 말을 새롭게 일깨운다.

책에서 정기용 씨는 세 종류의 집에 대해 말한다. 유년시절을 보냈던 기억의 집, 현재 살고 있는 집, 그리고 살고 싶은 꿈의 집. 책에 참여한 건축가 대부분이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기억과 기대를 삶의 한 방식으로 주택에 담아내고 있다. 일상의 환경을 주택으로 끌어들여 공간의 경계를 허무는 작업에도 큰 의미를 부여한다. 어떤 사람은 혼돈스러운 도심의 동네를, 어떤 사람은 한적한 시골 마을의 자연을 끌어들인다. 책을 읽다 보면 건축가들의 ‘특별하지 않은’ 집이 왜 특별한지 알게 될 것이다.

배준현 동양대 교수 건축실내디자인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