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갈피 속의 오늘]1992년 獨적군파 테러포기 선언

  • 입력 2007년 4월 14일 02시 59분


코멘트
“한 번도 절망하지 않은 도덕보다 절망한 불법이 도덕적이다.”(귄터 그라스)

타협은 없었다. 활로를 찾지 못한 절망은 분노가 됐다. 터뜨리지 않으면 멈출 수 없는 내적 상실. 결국 피를 봐야 했다.

적군파(赤軍派·Red Army Faction).

원 조직명은 ‘바아더-마인호프 그룹’. 1970년대 유럽을 전율하게 한 독일의 좌파집단이다. “마르크스레닌주의라는 ‘비판의 무기’를 ‘무기의 비판’으로 대체한”(‘시대정신’ 창간호에서) 시대의 풍운아. 그러나 대가는 너무도 혹독했다.

그들 또한 태생은 순수했다. 1960년대 학생운동의 자양분을 먹고 자랐다. 당시 청춘의 심장에 비친 세상은 ‘변혁의 대상’이었다. 프라하의 봄과 중국 문화혁명, 그리고 베트남전쟁. 세계는 방향을 잃은 몬도카네로 비쳤다. 자유와 민중을 위한 사회 참여는 당연한 귀결이었다.

하지만 청춘의 순정은 자본의 다이아몬드 앞에 무력했다. 길을 떠났으나 동반자가 돌아섰다. 핵심 조력자였던 사민당이 연정에 합류했다. 체 게바라와 존 F 케네디의 암살은 정신적 공황마저 불러왔다. 벼랑 끝에 선 선택의 기로. 핵심 멤버였던 구드론 엔슬린은 회고한다. “우리는 자아를 실현하고 세상을 설득할 우리만의 방법을 찾아야 했다.”

청년들의 ‘자아실현’은 무자비했다. 공공기관에 불을 지르고 은행을 털었다. 선량한 승객이 탄 비행기를 납치하고 살인도 서슴지 않았다. 타락천사의 손에 쥐어진 칼날은 망나니처럼 휘둘렸다.

외골수의 술래잡기는 갈수록 짝을 잃었다. 신념의 보루였던 노동자마저 고개를 저었다. “대중의 지지를 얻으려던 투쟁이 대중성을 완전히 잃는 계기”(엄창현의 인물로 본 세계사)가 될 줄이야. 단원들이 하나 둘 떠나고 스스로 무너지기 시작했다.

1992년 4월 14일 적군파는 사실상 백기를 든다. ‘인명 살상’과 ‘테러 투쟁’의 포기를 선언했다. 슈피겔지는 “정부와 적군파의 ‘30년 전쟁’이 막을 내렸다”고 평가했다. 사망자만 수백 명을 낸 길고 긴 전쟁. 승리의 월계관은 피 묻은 시신 위에 버려졌다.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